프리미엄 고속버스 타보니…“추석 고향집,집소파에 누워서 간다”

프리미엄 고속버스 타보니…“추석 고향집,집소파에 누워서 간다”

입력 2016-06-14 16:24
업데이트 2016-06-14 16: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추석 연휴 서울∼부산, 서울∼광주 시범운행요금은 우등버스 1.3배 수준…서울∼부산 4만4천400원

“비행기를 연상케 하는 내부 구조와 집 소파에 누운 듯한 안락함.”

올 추석 연휴 첫 시범운행을 하게 될 프리미엄 고속버스를 타고서 받은 첫인상이다.

국토교통부는 14일 정부세종청사와 오송역을 왕복하는 프리미엄 고속버스 시승행사를 열었다.

프리미엄 고속버스는 현 우등형 고속버스의 단점을 보완해 좀 더 개선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작된 차량이다.

국내에 우등버스가 도입된 것은 1992년으로, 24년 만에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고속버스가 등장하는 것이다.

이날 시승행사에는 현대자동차가 제작한 ‘유니버스’와 기아자동차가 만든 ‘뉴 그랜버드’ 등 두 종류의 차량이 투입돼 왕복 시 서로 다른 차량을 이용하도록 했다.

버스에 올라탔을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넓은 좌석과 통로였다.

프리미엄 버스는 우등버스보다 좌석 수를 줄여(28석→21석) 개인 좌석의 앞·뒤 공간을 늘렸다.

최대 165도까지 기울어지는 전자동 좌석 조정이 가능하고 고급 소재로 된 좌석 시트에 조절식 목 베개가 부착돼있어 안락하게 잠을 잘 수 있다. 기존 우등버스는 좌석을 최대 139도까지만 기울일 수 있었다.

개별 좌석은 최대 키 182㎝인 성인이 165도로 누울 수 있을 만큼의 여유 공간을 갖췄다.

특히 현대차 유니버스는 뒷좌석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좌석을 최대로 젖힐 수 있도록 설계돼 앞뒤 승객끼리 얼굴을 붉힐 일이 없다.

기자가 의자를 최대한 기울이자 마치 집 소파에 누운 듯한 느낌이었다. 워낙 안락해 정부세종청사에서 오송역으로 이동하는 20여 분 사이 졸음이 밀려올 정도였다.

좌석별로 중간에 설치된 가림막 커튼도 눈에 띄었다. 커튼을 이용하면 모르는 사람이 옆에 앉아도 사생활을 지킬 수 있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짐을 올려놓는 선반은 비행기 짐칸과 똑같은 형태로 탈바꿈했다. 경계가 분명해 짐이 섞이는 일이 덜하고 뚜껑을 덮을 수 있어서 물건이 떨어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이밖에 프리미엄 버스는 좌석별로 테이블, 독서등, USB 충전 단자 등 이동 중에도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편의시설을 갖췄다.

또 장시간 이동이 지루하지 않도록 전 좌석에 개별 모니터를 설치하고 헤드폰을 비치해 영화, TV, 음악,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비행기와 같이 이동 경로와 현 위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보여주는 서비스도 있다.

최정호 국토부 2차관은 “1992년 우등버스 도입 후 정체된 버스 서비스 수준을 개선하고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올 추석 시범운행을 통한 수요 조사 등을 거쳐 더 많은 노선에 서비스를 보급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프리미엄 버스는 추석 연휴에 맞춰 9월 12일부터 서울∼부산(노포동) 구간에 12대, 서울∼광주(광천동) 구간에 15대 등 총 27대가 투입된다.

운행 요금은 서울∼부산이 4만4천400원, 서울∼광주가 3만3천900원이다.

이는 각각 우등버스(3만4천200원·2만6천100원)보다는 1.3배가량 비싸지만, KTX(5만9천800원·4만7천100원)보다는 저렴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