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후드래치 결함’ 투싼·카니발 30만대 리콜

미국서 ‘후드래치 결함’ 투싼·카니발 30만대 리콜

입력 2016-06-14 07:40
업데이트 2016-06-14 07: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행 중 갑자기 후드 열릴 가능성…문제 부품 무상 교환키로

안전벨트 문제 포르테 5천245대 리콜…사고시 파편에 다칠 우려

현대기아차가 미국에서 투싼과 카니발 등 30만대를 리콜한다.

14일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2015년 5월 19일에서 2016년 3월 14일 사이에 생산된 2016년식 투싼 8만1천대를 리콜한다.

해당 차량은 후드가 열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1차 ‘후드 래치(hood latch)’가 풀린 상태에서 운전할 경우 2차 후드 래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주행 중 후드가 갑자기 열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리콜은 현대차가 미국에서 판매한 신형 투싼 대부분에 해당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지난해 7월 미국에 신형 투싼을 출시한 이후 지난달까지 총 7만6천428대의 투싼을 판매했다.

현대차는 다음달 15일부터 리콜을 시작해 문제가 된 2차 후드 래치를 무상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기아자동차도 비슷한 결함이 발견된 2006~2014년식 세도나(국내 모델명 카니발) 21만9천800대를 리콜한다. 해당 모델은 2005년 6월 15일에서 2014년 4월 4일 사이에 생산됐다.

기아차가 2006년부터 지난달까지 미국에서 판매한 카니발 22만9천881대의 대부분이 해당되는 것으로 보인다.

기아차는 “2차 후드 래치의 부식으로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도 2차 후드 래치가 제대로 걸리지 않을 수 있다”며 “운전 중 후드가 열려 사고 위험을 키울 수 있다”고 밝혔다.

리콜은 다음달 25일부터 진행하며 래치를 교체하거나 기름칠을 할 방침이다.

기아차는 2012년 9월 10일에서 2012년 10월 31일 사이에 생산된 2013년식 포르테 5천245대도 리콜한다.

해당 모델은 앞좌석 안전벨트의 ‘리트랙터 리테이닝 플레이트’(retractor retaining plate)를 고정하는 나사를 제대로 조이지 않아 사고시 플레이트가 부러질 우려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로교통안전국은 사고시 플레이트가 파손되면서 파편이 승객을 다치게 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기아차는 2015년 9월 28일 한 고객이 SNS에 교통사고로 부서진 안전벨트 파편이 어린이의 다리에 박혔다고 올린 글을 보고 결함을 발견했다.

기아차는 오는 30일부터 리콜을 시작, 문제 부품을 무상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