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오라 부산항에’ 부르짖는 현대家

‘돌아오라 부산항에’ 부르짖는 현대家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6-10 22:30
업데이트 2016-06-10 2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 달 후면 생이별… 현대상선 산업은행 품으로

새달 계열분리… 그룹 맏형 위상 추락
회사 정상화되어도 재인수는 불투명


이미지 확대
서울 종로구 현대상선 본사 로비에 있는 선박 컨테이너 모형.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서울 종로구 현대상선 본사 로비에 있는 선박 컨테이너 모형.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돌아오라 부산항에….’

현대상선이 용선료 협상에 성공했지만 현대그룹 본사의 분위기는 담담함 그 자체다. 다음달 15일 현대상선이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대주주 지분을 7대1로 떨어뜨리면 사실상 계열 분리가 확정되기 때문이다. 같은 그룹 내에서 ‘한솥밥’을 먹던 동료 직원이 산업은행의 품으로 떠나게 되자 현대그룹 직원들은 “가슴이 아프다”며 안타까운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10일 현대그룹에 따르면 그룹의 ‘맏형’ 역할을 맡았던 현대상선은 오는 8월 5일 산업은행 자회사가 된다. 유상증자 과정에서 산업은행이 출자전환을 통해 1대 주주로 올라서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음달 15일 임시 주총이 끝나면 그때부터 현대그룹은 경영권을 행사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최대주주인 현대엘리베이터 지분이 17.51%에서 3.05%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앞으로 한 달 후면 현대그룹은 현대상선과 ‘생이별’을 하게 된다는 얘기다.

이미 지난달 중순 현대상선 소속으로 돼 있던 그룹 전략기획본부 임직원 일부는 현대엘리베이터로 소속을 갈아탔다. 현대상선을 산은에 내주고 나면 현대엘리베이터가 큰형 역할을 대신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대엘리베이터로 옮겨 간 한 임원은 “그룹 업무를 담당했던 현대상선 직원들은 남고 상선 업무를 계속해야 하는 직원만 떠난다”면서 “평생을 상선에서 일해 왔는데 아쉬운 마음이 크다”고 말했다.

현대그룹은 현대증권에 이어 현대상선까지 잃게 되면 내년부터는 대기업 집단에서 빠지게 된다. 중견그룹으로 위상이 떨어지면서 허탈감을 느끼는 직원도 많다는 후문이다. 현대그룹의 한 직원은 “현대상선은 3년 전까지만 해도 매출 7조원을 올리는 회사였다”면서 “나중에 되찾을 수 있을지도 현재로선 미지수”라고 말했다.

현대상선이 정상화된 이후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감안하면 현대그룹이 가진 현금으로는 사실상 인수가 어렵다는 얘기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아직은 먼 얘기이긴 하지만 금호그룹처럼 우선매수청구권을 가진 것도 아니어서 시장에 매물로 나오면 경쟁 입찰에 참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6-11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