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료 못 낸 한진해운, 남아공서 벌크선 억류돼

용선료 못 낸 한진해운, 남아공서 벌크선 억류돼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5-25 22:50
업데이트 2016-05-26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적 선사 선박 억류는 첫 사례

1100억 체납… 새달 3배 늘 듯

한진해운 선박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억류됐다. 한진해운이 해외 선주 측에 용선료를 제때 지급하지 않아 선주가 실력 행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 2013년 법정관리 중인 STX팬오션 선박이 수차례 해외에서 억류된 적은 있지만 국적 선사인 한진해운 선박이 억류되기는 처음이다.

25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한진해운의 8만 2158DWT급 벌크선(철광석·곡물 운반선)인 ‘한진패라딥’호가 지난 24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억류됐다. 한진해운에 배를 빌려준 선주가 돈을 받지 못하자 더이상 참지 못하고 선박을 담보로 삼은 것이다. 억류가 되면 화물 주인(화주)과도 분쟁이 생긴다. 정해진 기일까지 화물을 운반하지 못한 ‘페널티’(벌칙)를 모두 떠안게 된다. 한진해운 관계자는 “밀린 용선료가 화근이 된 것 같다”면서 “사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해당 선주, 화주와 협상 중”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한진해운 선박이 추가로 억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한진해운의 주력 선종인 컨테이너선(용선 58척)도 수개월째 용선료를 내지 못하고 있어서다. 영국 해운전문지 로이드리스트에 따르면 한진해운은 캐나다 선주사인 시스팬 측에 석 달치에 해당하는 용선료 1160만 달러(약 138억원)를 연체하고 있다. 컨테이너선은 벌크선과 달리 화주가 여럿이라 협상이 더 어려울 수 있다. 또 얼라이언스(해운동맹)의 다른 화물까지 함께 싣고 있기 때문에 동맹 관계에도 큰 차질을 빚게 된다. 따라서 컨테이너선 억류만은 막아야 하는 상황이다. 한진해운 측은 “자산 매각 등으로 현금이 들어오는 대로 용선료를 갚아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억류가 한진해운의 자금 사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어 용선료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해외 선주들이 더 큰 손실을 염려해 ‘발’을 뺄 수 있기 때문이다. 용선료 협상의 첫 상대였던 시스팬도 한진해운의 용선료 인하 요구를 거절한 바 있다. 채권단은 한진해운이 용선료 1100억원을 체납하고 있으며, 다음달 연체료는 3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5-26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