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잠들지 않는 삼성카드 매각설

[경제 블로그] 잠들지 않는 삼성카드 매각설

이유미 기자
입력 2016-05-22 20:58
업데이트 2016-05-22 22: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니 땐 굴뚝에도 연기(매각설)가 나더라구요.”

금융권에선 지난해부터 삼성카드 매각설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삼성카드 측은 시종일관 아니라고 펄쩍 뜁니다.

재밌는 것은 시장의 움직임이죠. ‘큰손’ 기관투자가들은 올 들어 증시에서 삼성카드를 가장 많이 사 담았습니다. 삼성카드의 ‘신상’에 변화를 점치는 시각이 그만큼 더 많다는 얘깁니다. 이들이 보는 ‘삼성카드 매각설’의 실체는 이렇습니다.

삼성카드의 자본금은 약 6조 6000억원입니다. 이익잉여금도 3조 8550억원이나 되죠. 다른 카드사와 비교할 때 덩치나 체급에 비해 자본금 규모가 지나치게 많은 ‘과자본’ 상태인 셈이죠.

그런데 공교롭게 삼성생명은 대규모 자본확충을 해야 하는 처지입니다. 보험업계는 2020년까지 새 국제회계기준(IFRS4 2단계) 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당연히 시선은 삼성카드의 차고 넘치는 ‘곳간’으로 쏠립니다.

금융투자(IB)업계에선 추후 삼성카드가 투자부문과 자산운용부문으로 쪼개질 거라 보고 있습니다. 기존의 결제 기능은 삼성페이가 맡게 되겠죠. 7조원에 가까운 자본금은 투자부문에 태운 뒤 이를 삼성생명과 합병하는 시나리오죠. 삼성생명은 부족한 자본금을 채우고 향후에 중간금융지주 전환을 위한 ‘실탄’도 함께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를 뒷받침하듯 삼성생명은 올해 1월 삼성전자가 보유한 삼성카드 지분(37.5%)을 모두 사들여 1대 주주(79.1%) 자리에 올라 있습니다. 오는 8월 ‘원샷법’(기업활력제고를 위한 특별법)이 시행되면 3분의2 이상 지분을 보유한 대주주는 주주총회 없이도 간이 합병이나 분할을 결정할 수 있죠.

삼성카드는 자산운용 부문만 남게 됩니다. 삼성그룹 내엔 이미 삼성자산운용이 있습니다. 그동안은 그룹사 내에 1개의 자산운용사만 두도록 하는 원칙이 엄격히 적용돼왔죠. 그런데 이 역시 오는 8월 폐기됩니다. 삼성의 중간금융지주가 출범하면 삼성자산운용과 함께 존립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물론 아직은 어디까지나 ‘시나리오’일 뿐입니다. 다만 삼성금융계열사 재편 여부에 시장의 비상한 관심이 쏠려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보수적이고 몸이 무거운 우리 금융산업에 이재용 부회장의 ‘뉴 삼성’이 자극제가 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6-05-23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