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in 비즈] ‘협업’ 필요한 카카오 가사서비스 사업

[비즈 in 비즈] ‘협업’ 필요한 카카오 가사서비스 사업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05-17 23:02
업데이트 2016-05-18 0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카오는 하반기에 모바일 홈클리닝 중개 서비스 ‘카카오홈클린’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가사도우미와 이용자를 연결하는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로, 카카오는 검증된 O2O 노하우로 수급 불균형이 큰 가사서비스 시장에 혁신을 가져오겠다는 포부를 내보였습니다.

하지만 기존 가사노동 단체들이 반기고 있는 건 아닙니다. 카카오는 지난해부터 가사노동 단체들과 협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가사노동 3대 단체와는 손을 잡지 않은 상태입니다. 모바일 대리운전 연결 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를 준비하며 대리기사 단체들과 협업하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단체들 사이에서는 “가사서비스의 공공성 강화 논의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대기업의 진입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3대 단체인 전국가정관리사협회와 한국가사노동자협회, 한국YWCA연합회는 비영리로 가사서비스를 운영하는 한편 가사서비스 업무 표준화와 근로계약서 쓰기 운동, 사회적기업 확산 등을 추진해 왔습니다. 근로기준법을 개정해 가사서비스 종사자를 근로자로 인정할 것도 주장해 왔습니다. 이들 단체의 노력으로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가사서비스 제도 개선 계획을 발표하고 후속 입법을 준비 중입니다. 이런 가운데 시장에 뛰어든 카카오의 파급력이 어디까지 미칠지가 이들 단체가 우려하는 부분입니다.

카카오는 ▲업무 매뉴얼 정립 ▲파손보험 도입 ▲투명한 결제 시스템 ▲도우미·이용자 상호 평가 등 종사자 보호 장치들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오은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인재연구센터장은 “카카오의 진입으로 가사서비스 제도화 논의가 급물살을 탈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카카오가 어떤 사업 모델을 내놓느냐에 따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골목상권’이나 마찬가지인 단체들의 비영리 사업이 카카오에 밀려 위축될 우려도 있습니다.

오 센터장은 “시민단체와 정부가 구현하려는 것들을 카카오가 수용하면서 진일보한 모델을 제시하는 게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말합니다. 카카오 역시 ‘종사자 우선’이라는 지향점이 같은 만큼 협력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결국 기업의 ‘파괴적 혁신’도 시민사회의 노력과 보폭을 맞춰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5-18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