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학생이 남학생과 비교해 학교에서 공부하는 시간은 적지만, 사교육을 더 오래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도시 지역에 사는 학생들의 사교육 시간이 농촌보다 훨씬 길게 나타났다.
16일 한국인구학회가 통계청의 의뢰로 수행한 ‘2014년 생활시간 조사 결과를 활용한 한국인의 삶 심층분석’ 보고서를 보면 은기수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청소년의 학습시간’ 연구에서 10세 이상 초·중·고 재학생 6천408명의 학습시간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초중고 재학생의 총 학습시간은 하루 평균 406분(6시간46분)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의 학습시간이 410.7분으로 남학생 402.1분보다 길었다.
여학생은 학교에서 공부하는 시간이 216.2분으로 남학생(227.1분)보다 짧았다.
그러나 학원 등에서 공부하는 ‘학교 외 학습시간’은 여학생이 194.6분으로 남학생의 175.1분보다 11%(약 20분) 가량 길었다.
남녀간 사교육 시간 차이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초등학생의 경우 도시지역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교외 학습시간이 각각 156.6분과 156.4분으로 거의 같았다. 농촌에서도 125.5분, 126.3분으로 비슷했다.
중학생으로 올라가면 도시지역 남학생의 학교외 학습시간은 평균 203.4분, 여학생은 216.4분으로 격차가 13분이 됐다.
도시지역 여고생의 학교외 학습시간은 무려 213.4분(약 3시간33분)이나 돼 남고생의 176.9분보다 36.5분이나 길었다.
은 교수는 “사교육 측면에서 여학생의 학습시간이 남학생보다 길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남녀 전체적으로 보면 학교외 학습시간은 고등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16세에 206.9분으로 정점을 찍고 이후 학년이 오를수록 감소했다.
고3의 하루 평균 사교육 시간은 169.6분으로, 초등학교 6학년인 12세(173.8분)보다도 적었다.
지역별로도 학습시간에 차이가 확인됐다.
도시지역 학생은 하루 평균 413분을 공부에 썼고, 농촌지역은 368분이었다.
사교육시간은 서울이 222분으로 가장 길었다. 부산(199.9분)과 경기(199.3분)가 뒤를 이었다.
반면 전남(141.8분)과 충남(148.9분), 충북(158.0) 등 지역은 상대적으로 사교육 시간이 짧았다.
은 교수는 “서울과 전남지역 차이는 한국 도시와 전형적 농촌지역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다”며 “학업시간 차이는 현대 사회에서 농촌이 도시에 비해 유무형의 불이익이나 차별을 경험하고 있다는 증표”라고 해석했다.
한편 연구결과 부모의 교육 성취수준이나 경제력이 자녀의 사교육 시간과 상당한 연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버지가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인 경우 고등학생 자녀의 학교외 학습시간은 평균 125.6분에 그친 반면, 아버지가 대학 졸업 이상일때는 235.3분으로 두 배에 달했다.
가구소득이 월 200만원에 못 미치는 경우 학교외 학습시간은 125.6분이었고, 60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230.2분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은 교수는 “한국 사회에서 불평등이 교육을 통해 대물림된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 부모의 교육수준과 경제력이 사교육 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은 교수는 “학벌을 중시하는 한국사회 속성상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학습시간 차별성이 한국사회에서 계급재생산의 한 단면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지역별로는 도시 지역에 사는 학생들의 사교육 시간이 농촌보다 훨씬 길게 나타났다.
16일 한국인구학회가 통계청의 의뢰로 수행한 ‘2014년 생활시간 조사 결과를 활용한 한국인의 삶 심층분석’ 보고서를 보면 은기수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청소년의 학습시간’ 연구에서 10세 이상 초·중·고 재학생 6천408명의 학습시간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초중고 재학생의 총 학습시간은 하루 평균 406분(6시간46분)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의 학습시간이 410.7분으로 남학생 402.1분보다 길었다.
여학생은 학교에서 공부하는 시간이 216.2분으로 남학생(227.1분)보다 짧았다.
그러나 학원 등에서 공부하는 ‘학교 외 학습시간’은 여학생이 194.6분으로 남학생의 175.1분보다 11%(약 20분) 가량 길었다.
남녀간 사교육 시간 차이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초등학생의 경우 도시지역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교외 학습시간이 각각 156.6분과 156.4분으로 거의 같았다. 농촌에서도 125.5분, 126.3분으로 비슷했다.
중학생으로 올라가면 도시지역 남학생의 학교외 학습시간은 평균 203.4분, 여학생은 216.4분으로 격차가 13분이 됐다.
도시지역 여고생의 학교외 학습시간은 무려 213.4분(약 3시간33분)이나 돼 남고생의 176.9분보다 36.5분이나 길었다.
은 교수는 “사교육 측면에서 여학생의 학습시간이 남학생보다 길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남녀 전체적으로 보면 학교외 학습시간은 고등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16세에 206.9분으로 정점을 찍고 이후 학년이 오를수록 감소했다.
고3의 하루 평균 사교육 시간은 169.6분으로, 초등학교 6학년인 12세(173.8분)보다도 적었다.
지역별로도 학습시간에 차이가 확인됐다.
도시지역 학생은 하루 평균 413분을 공부에 썼고, 농촌지역은 368분이었다.
사교육시간은 서울이 222분으로 가장 길었다. 부산(199.9분)과 경기(199.3분)가 뒤를 이었다.
반면 전남(141.8분)과 충남(148.9분), 충북(158.0) 등 지역은 상대적으로 사교육 시간이 짧았다.
은 교수는 “서울과 전남지역 차이는 한국 도시와 전형적 농촌지역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다”며 “학업시간 차이는 현대 사회에서 농촌이 도시에 비해 유무형의 불이익이나 차별을 경험하고 있다는 증표”라고 해석했다.
한편 연구결과 부모의 교육 성취수준이나 경제력이 자녀의 사교육 시간과 상당한 연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버지가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인 경우 고등학생 자녀의 학교외 학습시간은 평균 125.6분에 그친 반면, 아버지가 대학 졸업 이상일때는 235.3분으로 두 배에 달했다.
가구소득이 월 200만원에 못 미치는 경우 학교외 학습시간은 125.6분이었고, 600만원 이상인 경우에는 230.2분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은 교수는 “한국 사회에서 불평등이 교육을 통해 대물림된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 부모의 교육수준과 경제력이 사교육 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은 교수는 “학벌을 중시하는 한국사회 속성상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학습시간 차별성이 한국사회에서 계급재생산의 한 단면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