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 위기’ 금융위 표지석 김석동·곽상용이 살렸다

‘폐기 위기’ 금융위 표지석 김석동·곽상용이 살렸다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6-05-13 22:40
업데이트 2016-05-13 2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만든 金이 인수… 郭의 남한강변 식당에 전시

청사 이전으로 폐기될 위기에 놓였던 금융위원회 표지석이 남한강변으로 ‘이사’를 간다. 새로 자리잡는 터는 곽상용 전 삼성생명 부사장이 경영하는 경기 양평 남한강변의 레스토랑이다. 레스토랑이 정원형 문화공간으로 조성돼 있어 이곳에 표지석을 옮겨 놓기로 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광화문시대’ 상징물… 김석동 前위원장이 결자해지

금융위원회는 최근 민간위원이 포함된 기록물심의위원회를 열어 금융위 표지석을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에게 넘기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앞서 금융위는 4월 27일부터 5월 3일까지 표지석 인수 신청을 받았다. 1000만원이 넘는 돈을 들여 만든 표지석을 ‘공짜’로 넘겨주겠다고 공고했으나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 막판에 유일하게 신청한 사람이 다름아닌 김 전 위원장이다.

김 전 위원장은 자신이 금융위를 이끌던 2012년 공들여 설치한 표지석이 폐기처분될 위기에 놓였다는 소식을 듣고 ‘결자해지’ 차원에서 손을 들었다. 몇 백만원이 들 것으로 예상되는 이전 비용은 부담한다고 쳐도 문제는 전시 장소였다. 가로 2m가 넘는 커다란 비석을 김 전 위원장의 아파트 거실에 놓을 수는 없는 일이었다. 그래서 김 전 위원장은 곽 전 부사장에게 SOS를 쳤다.

●2m 비석 보관 장소 마땅찮아… 곽 前부사장에 SOS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출신인 곽 전 부사장은 삼성을 그만둔 뒤 양평에서 문화공간 ‘파머스가든 봄’을 운영하고 있다. 1997년 김 전 위원장이 재경부 외화자금과장일 때 당시 서기관이 바로 곽 전 부사장이었다. 두 사람은 함께 외환위기에 대처했던 인연이 있다. 금융위 표지석의 표면적 인수자는 김 전 위원장이지만 ‘실질 배후’는 곽 전 부사장인 셈이다.

●청사 이전 금융위 “폐기 비용만 수천만원… 고민 덜어”

김 전 위원장은 금융위원장 재직 시절인 2012년 9월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건물에서 광화문 프레스센터로 이사하면서 ‘광화문 시대’를 여는 상징물로 이 표지석을 만들어 설치했다. 서예가 학정(鶴亭) 이돈흥 선생이 글을 썼고 거암(巨巖) 서만석 선생이 전남 장흥에서 구해온 돌에 글을 새겼다. 제작·설치비로 1300만원이 들었다. 표지석 귀퉁이에는 비석을 세운 김 전 위원장의 이름도 새겨져 있다. 그런데 금융위가 정부서울청사로 옮겨가게 되면서 표지석이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금융위는 애초 국가기록원에 표지석을 넘기겠다는 뜻을 전했지만 ‘기록물로서의 가치가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 마지막까지도 인수 희망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금융위는 표지석을 깨뜨려 폐기할 계획이었다. 금융위는 “폐기 비용만 수천만원이 들어 고민이었는데 다행”이라며 안도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6-05-14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