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담보로 노후 대비 ‘주택연금’ 꼼꼼한 독신女…느긋한 독신男

집 담보로 노후 대비 ‘주택연금’ 꼼꼼한 독신女…느긋한 독신男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05-13 23:14
업데이트 2016-05-13 2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신녀 32% 독신남 7% 가입

“男은 60대 넘어도 경제활동”
“女는 기대수명 높아 철저 준비”

주택연금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흥미로운 조사 결과가 나왔다. 주택연금은 살던 집을 담보로 잡히고 매달 생활비를 받는 상품이다. 혼자 사는 여성 3명 가운데 1명은 주택연금에 가입했지만 혼자 사는 남성은 10명 중 1명도 채 가입하지 않았다. 노후를 대하는 태도에서 독신남과 독신녀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차이는 왜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한국주택금융공사는 2007년부터 2016년 2월까지 주택연금 가입건수 3만 628건(누적 기준)을 통해 가입자들의 특성을 분석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독신녀의 가입 비율이다. 부부 가운데 한 명이라도 60살이 넘으면 신청할 수 있는 주택연금 특성상 가입자의 가장 큰 비중은 부부다. 1만 8669건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61.0%)을 차지한다. 그런데 배우자가 없는 집주인 가운데 여성은 32.3%(9904건)가 주택연금에 가입했다. 반면 남성은 6.7%(2055건)에 불과했다. 독신녀의 가입비율이 독신남의 5배를 넘는다. 주택금융공사 내부에서조차 “이유가 궁금하다”는 말이 나오고 있을 정도다. 신기철 숭실대 정보통계보험학과 교수는 “남자들은 상대적으로 국민연금 혜택을 여성보다 많이 받고 60대 이후에도 경제 활동을 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면서 “아무래도 소득이 있으니까 굳이 집을 넘기고 연금을 받으려 하지 않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류기윤 주택금융공사 주택연금부장은 기대수명에서 원인을 찾았다. 류 부장은 “여성이 남성보다 서너 살가량 더 오래 살 가능성이 높다 보니 홀로 남겨질 상황을 우려해 준비를 더 하는 것 같다”고 풀이했다. 상대적으로 남성보다 더 꼼꼼한 여성의 특성이 노후 준비에서도 차이를 가져오는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60대 이상 남녀 생존율도 다소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가입 비중이 73.4%, 지방이 26.6%이다. 이 격차는 해마다 줄어드는 추세다.

평균 가입연령(부부의 경우 최저 연령자 기준)은 71.9세다. 70~74세가 26.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60대 후반(65∼69세, 21.4%)과 70대 후반(75∼79세, 21.3%)도 가입률이 높았다. 60대 초입(60∼64세)과 80세 이상은 각각 14.2%, 14.6%였다. 평균 수령액은 월 98만 8000원이다. 50만~100만원 구간이 43.1%로 가장 많았고 100만~150만원 21.0%, 50만원 미만이 19.4%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05-14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