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성장 제한하는 대규모 기업집단 개선을”

“벤처 성장 제한하는 대규모 기업집단 개선을”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04-25 23:12
업데이트 2016-04-26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경연 주최 특별 좌담회…카카오·셀트리온 등 촉구

“인공지능(AI) ‘알파고’로 주목받은 딥마인드는 구글이 인수한 회사입니다. 페이스북도 스타트업의 인수·합병(M&A)을 통해 성장하고 있죠. 카카오의 44개 계열사 중 40개 기업이 스타트업 규모입니다. 하지만 카카오가 대규모 기업집단에 지정되면서 이들 스타트업이 더이상 벤처캐피탈로부터 투자를 받지 못하게 됐습니다.”(홍은택 카카오 수석부사장)

셀트리온과 하림, 카카오 등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대기업으로 지정된 기업들이 대규모 기업집단 지정 제도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25일 서울 영등포구 전국경제인연합회 콘퍼런스센터에서 한국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 ‘대규모기업집단 지정 제도, 무엇이 문제인가’ 특별 좌담회에서다.

홍은택 카카오 수석부사장은 “카카오가 투자한 스타트업들이 대기업 계열사가 되면서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거나 병역특례로 젊은 인재를 유치하는 데 제한을 받게 됐다”고 말했다. 김형기 셀트리온 대표이사는 “중견기업일 때는 연구개발비 지출액의 8%를 세액공제율로 적용받았지만 대기업집단 문턱을 넘어서며 3% 이하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이날 주제 발표를 맡은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은 “한국의 대기업 규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 수준”이라면서 “대기업 규제가 기업의 성장 유인을 억제해 왔다”고 주장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4-26 2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