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한 네안데르탈인…“아들 못 낳았을 것”

멸종한 네안데르탈인…“아들 못 낳았을 것”

입력 2016-04-09 11:29
업데이트 2016-04-09 11: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연구진, 네안데르탈인 유전자에 치명적 돌연변이 발견

고대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은 아들을 출산하기가 어려웠고 이로 인해 멸종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8일 ‘미국인간유전학저널’(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에 따르면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Y염색체를 분석해 아들을 낳을 수 없게 만드는 치명적인 돌연변이가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네안데르탈인은 59만년 전에 나타난 고대 인류로 3만 년 전에 갑자기 사라졌다.

하지만 5만∼10만 년 전 현생 인류와 교배해 유럽과 아시아 계통 사람들의 유전자 일부가 네안데르탈인에서 왔다고 알려진 만큼 우리와는 친척같이 가까운 존재다.

연구팀은 4만9천 년 전 스페인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남성의 남은 뼈에서 보존 상태가 좋은 Y염색체를 얻었고 여기 있는 유전자를 현재 남성의 Y염색체 유전자와 비교했다.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의 Y염색체에서 면역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이 중에는 ‘KDM5D’라는 유전자가 있는데, 이 유전자는 면역반응의 세기를 조절한다.

이 유전자는 임신했을 때 엄마의 면역세포가 태아를 공격하지 못하도록 엄마의 면역반응을 낮춘다.

그런데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남자 아기는 태아 상태일 때 엄마의 면역 반응을 낮추지 못해 면역세포의 공격을 받게 된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네안데르탈인이 아들을 임신하면 쉽게 유산했고, 남성의 수가 점점 줄어들며 결국 멸종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