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리PB의 생활속 재테크]헬스케어펀드 투자해볼까

김형리PB의 생활속 재테크]헬스케어펀드 투자해볼까

이유미 기자
입력 2016-03-22 17:31
업데이트 2016-03-22 17: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0세 시대가 머지않았다. 유엔미래보고서는 2030년에 인간의 기대수명이 약 100세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는 ‘고령화 시대’엔 실버 세대가 소비의 주요 축으로 떠오를 것이라는 게 전반적인 예측이다.

헬스케어펀드 역시 고령화 사회의 최대 수혜주로 꼽힌다. 헬스케어 펀드는 의료기기와 제약, 바이오 관련 기업 등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다. 최근에는 유기농, 건강기능식품 및 성형·미용, 의료서비스, 질병 예방까지 그 범위가 넓어졌다. 생명과학이나 의료 관련 정보기술(IT) 기업까지도 투자 대상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 운용하고 있는 헬스케어펀드는 크게 국내 헬스케어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와 해외 헬스케어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로 나뉜다.

글로벌 펀드는 주로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돼 있는 헬스케어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데, 화이자나 노바티스 같은 초대형 제약회사들이 대표적인 투자 대상이다. 국내 펀드는 LG생명과학이나 SK케미칼 같은 신약개발회사와 루트로닉, 휴비츠 등 의료기기 회사, 메디톡스, 메디팜 같은 특수약품 회사에 주로 투자한다.

헬스케어펀드 투자는 ‘장기전’이 필수다. 헬스케어펀드에 투자할 때 주의할 점은 단기 성과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신약을 개발하는 회사라면 개발에서 상품화까지 10년이 넘게 걸리는 경우도 있다. 1~2년 성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무리라는 얘기다. 특히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헬스케어 시장이 초기 단계이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헬스케어 관련 상품은 상장지수펀드(ETF)까지 포함해도 아직 10여개에 그치고 있다. 그만큼 선택의 폭이 좁다는 얘기다. 펀드 설정일이 짧아 모집 규모 역시 작다. 물론 지난해 코스닥에서 바이오·헬스케어 관련 종목들이 주목받으며 일부 펀드는 기대 이상의 수익률을 내기도 했다. ‘동부바이오 헬스케어펀드1’(ClassS)의 경우 지난해 40%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다수 국내 헬스케어 종목들은 시장 지배력이 약해 변동성이 크다는 것도 단점이다.

해외시장에 투자하는 헬스케어펀드는 올해부터 비과세 혜택(15.4%)이 적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와 해외시장에 투자하는 비율을 적절히 섞어 포트폴리오를 꾸리는 운영의 묘가 필요하다. 다만 아직까지는 미래 수익을 기대하며 장기로 가져가는 ‘보험’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바구니의 대다수를 헬스케어펀드로 담는 것보단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에서 여유자금의 10~15%만 분산 투자하는 것이 적당하다.

농협은행 WM사업부 차장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