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그룹 계열사 43%가 공시의무 위반

60대 그룹 계열사 43%가 공시의무 위반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6-03-10 22:54
업데이트 2016-03-11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72개사 8억 1500만원 과태료

롯데그룹 55건… 2년 연속 최다

60대 그룹 가운데 롯데가 2년 연속 ‘공시 의무’를 가장 많이 어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계열사 10곳 중 4곳은 공시 의무를 지키지 않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시 위반 기업에 과태료 8억 1500만원을 부과했다.

공정위가 10일 발표한 ‘2015년 기업집단 현황 공시 및 비상장사 중요사항 공시 이행’ 점검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60개 대기업 소속 397개 계열사 가운데 172개사(43.3%)가 공시 의무를 413건 위반했다. 위반 비율이 전년(47.4%)보다 낮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절반에 가까운 대기업 계열사가 공시를 위반한 셈이다.

기업집단 공시 제도는 ‘현황 공시’와 ‘비상장사 중요사항 공시’로 나뉜다. 현황 공시의 경우 누락 공시가 253건(80.1%)으로 가장 많았다. 지연 공시(39건·12.3%), 허위 공시(20건·6.3%), 미공시(4건·1.3%)가 뒤따랐다.

항목별로는 이사회 등 운영 현황(165건·52.2%), 계열사 간 거래 현황(72건·22.8%)과 관련된 공시 위반이 많았다.

비상장사 중요사항 공시에서도 지연 공시가 63건(64.9%)으로 가장 많았다. 내용으로는 임원 변동을 제대로 알리지 않은 사례가 70건(72.1%)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롯데는 현황 공시(43건)와 비상장사 중요사항 공시(12건)를 55건 위반하면서 과태료 1억 3550만원을 부과받았다. 롯데상사는 임원 변동을 알리지 않고, 이사회 운영 현황 등을 늦게 공시했다가 과태료 2864만원을 물게 됐다. 비상장사인 호텔롯데, 씨에스유통, 롯데디에프글로벌 등도 중요사항을 아예 공시하지 않았다가 과태료를 부과받았다. 롯데는 2014년에도 공시 위반이 가장 많은 그룹이었다.

공정위는 롯데 해외 계열사가 출자한 11개 국내 계열사의 공시 위반 혐의를 별도로 검토하고 있어 롯데의 공시 위반 건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김정기 공정위 기업집단과장은 “롯데그룹은 계열사(80개사)가 많다 보니 공시 위반 건수도 늘어난 측면이 있지만 제도적으로 이를 막을 시스템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롯데 관계자는 “위반 사례 대부분이 단순 누락과 수치 오기”라면서 “오는 5월까지 공시시스템 전산화 작업을 마치겠다”고 말했다.

공시 위반 건수로는 롯데에 이어 SK(33건), GS(30건), LG(28건), 대성(25건) 등이 뒤따랐다. 반면 금호아시아나, 에쓰오일, 현대백화점, 한진중공업, 아모레퍼시픽 등은 공시를 단 한 건도 위반하지 않았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6-03-11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