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에도 전세가 높은 지역 아파트값 여전히 강세

대출규제에도 전세가 높은 지역 아파트값 여전히 강세

입력 2016-02-16 09:21
업데이트 2016-02-16 09: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도권 19개 자치구 두달 연속 아파트값↑…15곳은 수도권 평균 전세가율 넘겨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심사 강화로 수도권 아파트 값 상승에 제동이 걸렸지만 전세가격이 높은 지역의 아파트 값은 여전히 강세다.

16일 부동산 업계와 부동산114 자료 등에 따르면 대출규제 강화 시행을 앞둔 지난 12월과 1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 값이 한풀 꺾였지만 수도권 내 19개 자치구에서는 아파트 값이 두 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12월과 1월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각각 0.16%(3.3㎡당 1천223만원→1천225만원)와 0%(3.3㎡당 1천225만원→1천225만원)로 상승폭이 둔화했다.

아파트값이 상승한 자치구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에서는 25개 자치구 가운데 성북구, 동대문구, 중랑구, 구로구, 동작구, 성동구 등 전세가 비율이 높은 15개 자치구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성북구가 지난 12월과 1월에 각각 0.39%와 0.08%의 상승률을 보였고 동대문구가 0.31%와 0.08%, 중랑구가 0.09%와 0.18%, 구로구가 0.08%와 0.17%, 동작구가 0.26%와 0.13%, 성동구가 0.29%와 0.06% 등으로 두 달 연속 상승했다.

경기에서는 시흥시가 유일하게 아파트 값이 지난해 12월 0.39%(762만원→765만원), 1월 0.13%(765만원→766만원) 오르면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인천에서는 부평구가 12월과 1월 각각 0.12%와 0.24%, 남동구가 0.12%와 0.12%, 중구가 0.25%와 0.13%로 아파트 값이 두 달 연속 올랐다.

이같은 지역은 대체로 높은 전셋값 탓에 내 집 마련 수요가 꾸준히 나오는 곳인데다 신규 아파트 공급도 부족해 집값이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월 말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73.23%로 두 달 연속 아파트 값이 상승한 수도권 19개 자치구 가운데 15곳의 전세가율이 수도권 평균을 웃돌았다.

19개 자치구 중 전세가율이 수도권 평균을 넘긴 곳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에서는 성북구가 82.85%로 전세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동대문구(79.88%), 중랑구(79.15%), 구로구(79.07%), 동작구(79.01%), 성동구(78.31%), 금천구(77.47%), 마포구(76.8%), 강서구(76.27%), 노원구(76.07%), 광진구(75.62%), 은평구(73.51%) 순이었다.

인천에서는 부평구의 전세가율이 79.19%, 남동구가 74.79%였고 경기에서는 시흥시가 74.52%로 수도권 평균을 넘겼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집에 대한 인식이 실수요 중심으로 바뀌면서 수요가 많아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의 아파트값은 가계부채 관리방안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 봄 분양시장에서 집값이 상승세를 보이는 수도권 지역에서 신규분양 물량이 대기 중이다. 신규 분양 아파트는 대출규제의 영향을 받지 않아 내 집 마련 수요자는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삼성물산은 이달 서울 광진구 구의1구역에서 ‘래미안 구의 파크스위트’ 854가구 중 502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GS건설은 이달 서을 은평구 진관동 은평뉴타운에서 ‘은평스카이뷰자이’를, 롯데건설은 4월 동작구 흑석동에서 ‘롯데캐슬’을 각각 분양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