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 대면 계좌이체 끝… 생체인증 금융거래 개막

엄지 대면 계좌이체 끝… 생체인증 금융거래 개막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6-02-02 22:34
업데이트 2016-02-03 0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나銀, 은행권 첫 서비스 개시

스마트폰 이용… 공인인증 불필요
타은행 안면·손바닥 인증 곧 가세

지문이나 홍채 등 생체 인식 정보와 스마트폰만을 이용해 모든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다. KEB하나은행은 공인인증서 없이 지문 인증만으로 돈을 이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은행권 최초로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 지문 인증으로 모바일뱅킹 로그인이나 일부 상품 가입만 가능했던 것을 넘어 계좌이체부터 대출신청까지 별다른 제한 없이 금융 거래를 할 수 있게 된 것은 처음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뱅킹을 위해 공인인증서를 다운받고 긴 암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점차 사라질 전망이다. KEB하나은행 측은 “기존 공인인증서보다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본인 인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지문 인식은 빠르게 공인인증서 자리를 대체해 나갈 것”이라면서 “지문 인증 서비스를 PC용 인터넷뱅킹까지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단 휴대전화에 자체 지문 인증 센서가 있어야 하고 국내에는 안드로이드폰 이용자가 많다는 점 등이 고려돼 이번 지문 인식 뱅킹은 안드로이드폰 중 최신 기종(삼성 갤럭시 S6 또는 노트5 이상)에서만 가능하다. 하나은행은 조만간 아이폰용 앱을 공개하고, 지문인증 센서가 없는 구형 휴대전화에서도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국내 은행권 최초로 OTP(일회용 비밀번호 생성기)를 휴대전화 속에 숨겨 놓는 서비스도 이달 중 출시할 계획이다.

생체 인증은 은행권 전반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신한은행도 S뱅크 등 모바일뱅킹 앱에서 지문이나 안면인식 기술을 통해 전체 금융거래가 가능한 서비스를 이르면 올 상반기 중 선보일 예정이다. 손바닥 정맥으로 본인 인증을 대신하는 지능형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보급도 늘릴 방침이다.

NH농협은행은 최근 공인인증서를 대신해 모바일뱅킹에서 예·적금 잔고 등을 확인하는 지문 인증 기술을 선보였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 역시 비대면 채널에서 생체 인증을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인터넷 전문은행이 연내 출범하는 데다 최근 은행의 비대면 거래 비중이 85%에 육박해 생체 인증 도입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6-02-03 2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