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변동성 2년만에 최대…800 갈까, 700 무너질까

코스닥 변동성 2년만에 최대…800 갈까, 700 무너질까

입력 2015-08-03 07:13
업데이트 2015-08-03 07: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800선 돌파’를 바라보던 코스닥지수가 ‘700선 붕괴’를 염려해야 만큼 증시 상황이 안갯속을 걷고 있다.

미국 금리 인상을 앞두고 외국인들이 한국 시장에서 자금을 빼내며 그간 수직 상승했던 바이오·제약주 등 중소형주에 대한 가격 부담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코스닥 조정은 당분간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주류를 이루지만, 코스닥 기업들의 이익 성장세를 감안할 때 지수의 추가 상승도 가능하다는 견해도 맞서며 널뛰기 장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 코스닥 7월 고점-저점차 85포인트로 벌어져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7월 평균 일중 지수 변동성은 2.19%로 집계됐다.

이는 2013년 6월(2.36%) 이후 2년여 만에 최대치다.

지수 변동성은 일중 고가와 저가의 차를 고가와 저가의 평균값으로 나눈 것으로, 당일 평균치에서 위아래로 지수가 얼마나 요동쳤는지를 보여준다.

올해(1~6월) 평균 변동성이 1.19%였던 것을 감안하면 지난달 코스닥의 등락폭이 평소 2배 수준으로 벌어진 셈이다.

지난달 코스닥의 장중 고점은 788.13(21일), 저점은 703.56(31일)으로 그 차이가 84.57포인트에 달했다.

이 같은 낙폭은 그간 코스닥 활황을 견인해온 유동성에 ‘빨간불’이 켜졌기 때문이다.

미국 금리인상 우려에 따른 외국인 자금 이탈세가 가속화되자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부담이 큰 중소형주 위주로 차익 매물이 쏟아지며 800선을 목전에 뒀던 코스닥지수는 700선 붕괴를 염려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특히 코스닥 상승을 견인하던 바이오·제약주들이 강한 조정을 받으며 시장 전체가 휘청거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단기 조정 불가피 vs 추가 상승 여력 충분

전문가들은 8월에도 코스닥이 변동성 큰 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김형렬 교보증권 매크로팀장은 “코스닥의 수익률이 연중 최고치 기준으로 45%에 육박하다보니 고점 논란이 시작되고 있다”며 “2009년 이후 매년 반복된 상고하저 패턴을 생각하면 단기 조정 가능성을 배제하긴 힘들다”고 말했다.

노아람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코스닥 제약 업종의 12개월 예상 주가수익비율(PER)은 현재 44.9배로 나스닥 바이오 업종의 32.3배보다 39%나 할증돼있다”며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700선 이하에서의 움직임을 대비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최동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코스닥의 주요 지지선으로 650선과 620선을 제시했다.

최 연구원은 “650선은 지난 5월 조정 과정에서 지지선으로 작용한 바 있고, 620선은 지난 3월 지수 레벨업 과정에서 지지력을 보여준 구간”이라며 “주요 지지선의 지지력을 확인하기 이전에는 보수적인 관점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코스닥 시장의 추세적 상승이 완전히 꺾였다고 보긴 어렵다며 추가 상승을 전망하는 시각도 있다.

안혁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소형주 과열 우려는 주로 비싼 밸류에이션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코스닥은 과거에도 항상 비쌌다”며 “오히려 역사적 평균 PER(주가수익비율) 측면에서 보면 현재 지수는 ‘저평가’됐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코스닥의 지난해 순이익은 전년도 대비 168% 증가했고, 올해 1분기 순이익도 지난해 동기 대비 71% 성장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며 “성장성까지 고려하면 현재 코스닥지수는 충분히 합리화될 수 있는 범위”라고 평가했다.

김형렬 팀장도 “성장주에 대한 밸류에이션 논란은 역사적으로 항상 존재했다”며 “코스닥의 피난처가 등장하기 전까지 고점 논쟁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일시적으로 바이오주가 하락해도 게임, 미디어, 정보기술(IT) 등 코스닥 내 다른 성장 산업으로 선순환이 나타날 경우 재반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