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20년 가입 후 수익률 연 6.9~11%

국민연금 20년 가입 후 수익률 연 6.9~11%

입력 2015-08-03 07:10
업데이트 2015-08-03 07: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확정기여형(DC형) 퇴직연금은 2014년 12월 현재 연 2.81%

2014년에 국민연금에 신규로 가입해 20년간 소득의 9%에 해당하는 보험료를 내면 소득계층별로 연 6.9~11%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반면 퇴직연금의 수익률은 2014년 12월 현재 연 2.8%정도에 불과해 국민연금의 수익률보다 훨씬 낮았다.

3일 국민연금연구원에 따르면 한정림 부연구위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퇴직연금의 최근 동향 및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의 수익성 비교분석’이란 연구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를 보면 1년 만기 원금보장형 퇴직연금의 수익률, 즉 평균금리는 2014년 12월 현재 확정급여형(DB형: Defined Benefit)은 연 2.76%이며, 확정기여형(DC형: Defined Contribution)은 연 2.81% 수준이었다.

이에 반해 국민연금의 소득계층별 내부수익률은 2014년에 새로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가입기간이 20년이면 최소 연 6.9%에서 최고 연 11.0% 이어서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의 평균금리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었다.

2014년 가입한 국민연금 20년 가입자의 소득계층별 수익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균소득자는 연 8.5%, 월 100만원 소득자는 11.0%, 월 300만원 소득자는 7.5%, 월 408만원 소득자는 연 6.9% 등이었다.

국민연금의 소득재분배 효과로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보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았다.

나아가 국민연금의 수익비는 소득계층별로 1.4~2.9배에 달해 노후에 연금을 받을 때 자신이 낸 보험료 총액뿐 아니라 추가로 40~190% 정도를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어떤 민간 연금상품보다 우월한 수익성을 보여준 것.

수익비는 낸 보험료 총액의 현가 대비 연금수급 총액의 현가 비율로 정의되며, 수익비가 1보다 크면 낸 보험료보다 연금으로 받는 금액이 더 많다는 의미다.

한 부연구위원은 “사적연금의 수익성이 공적연금보다 낮긴 하지만, 소득대체율(연금급여율)이 40%수준으로 급락한 국민연금만으로는 충분한 노후소득을 보장하지 못하는 만큼 다층노후보장체계의 한 축으로 퇴직연금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