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월드타워로 본 경제학

롯데월드타워로 본 경제학

류찬희 기자
입력 2015-02-13 23:54
업데이트 2015-02-14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억’ 하루 인건비 · ‘7조’ 부가가치 효과 · ‘2만개’ 상시 일자리 · ‘3000억’ 연간 관광수입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공사 현장. 겉으로는 조용한 것 같지만 안에서는 하루 7000~8000명의 근로자가 땀을 흘리고 있다. 이들의 하루 인건비만도 10억원, 연간 인건비는 3000억원을 넘는다. 세종시 행복도시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근로자가 1만명이 되지 않으니 단순 빌딩 건립이 아닌 도시 건설 현장이나 마찬가지다.

경제유발 효과도 막대하다. 롯데물산이 추산하는 생산유발 효과 및 경제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약 7조원에 이른다. 공사 기간 중 연 400만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완공 뒤에는 상시 일자리가 2만개를 넘을 전망이다. 지방 중소도시의 연간 일자리 창출에 버금갈 정도다.

연관 산업의 발전도 기대된다. 1~12층에는 금융·헬스케어·여행서비스센터 등이 들어선다. 원스톱 리빙이 가능한 복합서비스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14~38층 중층부는 프리미엄 오피스로 구성된다. 글로벌 비즈니스의 허브로서 쾌적하고 품격 높은 업무공간과 편리하고 다양한 지원 시스템, 최상의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는 산업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42~71층은 업무와 사교, 거주와 휴식을 겸하는 오피스텔 기능을 담당한다. 업무와 비즈니스에 필요한 다양한 콘텐츠와 인프라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고층부인 76~101층에는 6성급 호텔이 들어서고, 타워 117~119층에는 ‘아트 갤러리’가 자리한다. 최고층부인 500m 높이에는 전망대(SKY 123)가 들어설 예정이다.

롯데는 롯데월드타워와 롯데월드몰이 완공되면 연간 150만명의 해외 관광객(기존 롯데월드 포함, 250만명)을 유치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 한 건물에서 벌어들이는 관광수입만 연간 3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변 지역에 연간 1억명 이상의 유동 인구가 발생, 인근 방이맛골 음식점·석촌카페거리 등 지역 상권 활성화는 덤으로 따라온다.

월드타워는 또한 삼성전자 휴대전화나 한류처럼 상당 기간 동안 서울의 새로운 고급 브랜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하면 페트로나스 트윈타워가 떠오르는 것과 마찬가지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02-14 12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