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도 어린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학습한다”

“비둘기도 어린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학습한다”

입력 2015-02-05 14:22
업데이트 2015-02-05 14: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연구진 “비둘기가 사진 128장을 16개 범주로 분류”

뇌 크기가 집게손가락 손톱 정도인 비둘기도 어린이들이 단어를 배우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물을 인지하고 학습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아이오와대 에드 와서먼 교수팀은 5일 국제저널 ‘인지’(Cognition)’에서 비둘기들이 자연·인공 사물 사진 128장을 16가지 범주로 분류해낸 실험결과를 공개하고, 이는 비둘기의 인지·학습 방법이 어린이들의 단어 학습 방식과 비슷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비둘기들에게 아기, 개, 오리, 꽃, 모자, 케이크, 자동차, 전화 등 16가지 범주 사진과 이들 범주에 속하는 사물 흑백사진 128장을 보여주고 사물들이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 분류하게 하는 학습 실험을 했다.

특정 사진을 컴퓨터 화면으로 보여준 다음 그것이 속한 범주와 나머지 15개 범주 중 무작위로 선택한 한 범주 중에서 선택하게 한 다음 맞는 범주를 선택하면 먹이를 주는 방식이다.

그 결과 비둘기들은 이 실험 과정을 제대로 학습했을 뿐 아니라 이 학습을 토대로 4장씩의 새로운 사진을 16개 범주로 성공적으로 분류해냈다.

와서먼 교수는 이에 대해 동물들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똑똑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인간과 동물 사이에는 많은 차이점이 있고 그것이 잘 알려져 있지만,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공동연구자인 밥 맥머리 교수는 “어린이들은 별 배경지식 없이 수천 개의 단어를 배우는 학습을 하는데 사람들은 이런 학습을 오랫동안 인간 특유의 학습방식으로 생각해왔다”며 “이 연구는 어린이들의 이런 학습 방식을 다른 많은 종들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와서먼 교수는 그러나 “이 연구 결과가 비둘기와 어린이의 학습법이 같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아니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면서 “하지만 이 실험 모델이 어린이들의 단어학습에 관련된 연상원리에 대한 이해를 넓혀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