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임원 5년 재임 54.5세 퇴임

10대 그룹 임원 5년 재임 54.5세 퇴임

입력 2015-02-04 18:18
업데이트 2015-02-04 18: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장 58.7세, 부회장은 63세

삼성그룹, 현대차그룹 등 국내 10대 그룹 임원 퇴임 연령은 54.5세, 재직 기간은 5.2년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10대 그룹 96개 상장사 임원 중 지난 연말 연초에 진행된 2015년도 정기인사에서 퇴임 후 자사주를 매도한 2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가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직장인이 32세에 결혼해 이듬해 바로 아이를 낳는다고 가정하면 자녀가 고등학교 1학년 때 임원이 되고 대학 2∼3학년 때 퇴임하는 셈이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닌 임원은 2016년부터 시행되는 60세 정년 의무화 대상도 되지 못한다. 직급별 평균 퇴직 연령은 상무(이사)가 53.5세로 가장 낮았다. 이어 부사장이 55.8세였고, 전무는 56.2세로 부사장보다 평균 퇴임 연령이 높았다. 사장은 58.7세였고, 부회장은 63세로 가장 높았다.

10대 그룹 중 퇴직 임원 연령이 가장 낮은 곳은 LG로 51.4세였다. 퇴직 연령이 가장 높은 현대중공업(57.1세)과는 5.7년이나 차이가 났다. SK가 52.2세로 2위였고, 롯데(52.6세)와 한화·삼성(각 53.6세)이 뒤를 이었다. 한진(54.3세), 현대자동차(55.2세), 포스코(57세) 등은 퇴직 임원 연령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축에 속했다. 퇴직 연령대는 50대가 222명(81.9%)으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60대와 40대가 각각 24명(8.9%)과 25명(9.2%)이었다.

박규근 CEO스코어 대표는 “현재는 자사주를 매입한 임원들만 공시를 통해 재직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과 퇴직 후 계열사로 자리를 옮긴 임원은 퇴직으로 처리된다는 점에서 통계의 한계는 있다”면서도 “하지만 공시가 퇴직 임원에 대한 공개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루트인 만큼 의미는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5-02-05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