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예금금리는 내리고 고금리 대출은 여전

저축은행, 예금금리는 내리고 고금리 대출은 여전

입력 2014-10-21 00:00
업데이트 2014-10-21 1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석달새 예금·적금 금리 1% 포인트 가까이 하락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0%로 낮추자 저축은행도 예금과 적금 금리를 0.1%포인트 가까이 낮췄다.

2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공시된 전국 저축은행 평균 수신금리를 보면 지난 20일 기준 1년 만기 정기예금은 연 2.70%, 1년 만기 정기적금은 연 3.43%다.

이는 지난 7월 14일 전국 저축은행의 1년 만기 평균 정기예금(2.79%)과 정기적금(3.52%)금리보다 각각 0.09%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2.5%에서 2.25%로 낮춘 지난 8월 14일을 기준으로 한 달 전부터 지난 20일까지 약 3개월 동안 전국의 저축은행 평균 예금금리가 0.1%포인트 가까이 인하된 것이다.

지난 15일 한은이 2차로 기준금리를 2.25%에서 2.0%로 낮추자 전국 저축은행 평균 예·적금 금리는 이틀 만에 0.01%포인트 낮아지기도 했다.

반면, 저축은행의 대출 금리는 여전히 높다.

지난 8월 기준으로 은행과 대부분 2금융권은 예금 금리와 함께 대출 금리를 내렸으나 저축은행은 되레 대출금리가 올라간 바 있다.

저축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금리대별 취급비중을 보면 26곳의 저축은행이 지난 3개월간 연평균 25% 이상의 고금리 대출 사업(추가대출이나 기간연장을 포함하지 않은 신규취급액 기준)에 치중했다.

연평균 30∼35%의 고금리 대출 비중은 현대(88.2%), 스타(84.0%), 모아(83.3%), 스마트(83.2%), 아주(74.8%), 예가람(67.0%), HK(65.0%), 고려(61.6%), 인성(53.1%), SBI2(51.4%) 순으로 높았다.

대부업 대출 최고 금리가 지난 4월부터 기존 연 39.0%에서 34.9%로 낮아진 점을 고려하면 이들 저축은행의 대출 금리는 대부업체와 크게 다를 바 없다.

이와 관련, 저축은행중앙회는 “저축은행은 대부분 고정금리를 채택해 한은의 기준금리 변동을 반영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저축은행이 수신 금리는 재빨리 낮추고 고금리 대출 금리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잇속 챙기기에만 급급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자산 규모 업계 1위인 HK저축은행은 연 25∼30%의 신용대출 금리 비중이 21.2%로, 연평균 25% 이상의 고금리 신용대출 취급 비중이 총 86.2%에 달했다.

일본계로 4개의 계열사를 보유한 저축은행 업계 1위(종합 자산 기준)인 SBI저축은행도 연평균 25% 이상의 금리 취급 비중이 81.7%(SBI2 기준)였다.

또 다른 일본계 저축은행인 친애저축은행도 연 25∼30%의 대출금리 비중이 83.9%로 높은 편이었다. 대부업계 저축은행인 OK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은 대출금리 연 25∼30%의 비중이 99.6%에 이른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은행이 한자릿수, 보험·카드사는 10% 초반대, 저축은행이 15% 안팎, 대부업체가 20∼30%의 연간 대출금리를 맡아 서민이 단계적인 금리대로 대출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현재는 저축은행이 서민금융기관으로서 가교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