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 환자 40%는 20~30대..원형탈모가 70%

탈모 환자 40%는 20~30대..원형탈모가 70%

입력 2014-05-03 00:00
업데이트 2014-05-04 17: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형 탈모가 가장 흔해...스트레스·다이어트도 영향

머리카락이 빠지는 탈모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10명 가운데 4명은 20~30대 젊은 층으로 나타났다.

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 통계에 따르면 탈모증(질병코드 L63~66) 환자는 2009년 약 18만명에서 2013년 21만명으로 4년동안 17% 늘었다. 관련 진료비 역시 같은 기간 122억원에서 180억원으로 48% 불었다.

연령별(2013년 기준)로는 30대 환자가 24.6%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22.7%), 20대(19.3%) 등의 순이었다. 상대적으로 젊은 20~30대의 비중이 43.9%에 이르는 셈이다.

탈모는 보통 20~30대부터 머리카락이 점차 가늘어지며 진행되는데, 20~30대 탈모 초기 환자가 많은 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젊은 층일수록 치료에 보다 적극적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09~2013년 탈모 환자 가운데 남성의 비율은 51.1~53.6%로, 여성을 약간 웃돌았다.

탈모증 세부 종류 중에서는 머리카락이 동그라미 모양으로 빠지는 원형 탈모증(70%)이 가장 흔했다.

매일 머리카락이 약 50~70개씩 빠지는 것은 정상이지만, 자고 나서나 머리를 감을 때 100개 이상의 머리카락이 빠진다면 병적 탈모가 의심되는 만큼 병원을 찾아야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안드로젠), 면역체계 이상, 영양 결핍, 특정 약물, 출산·수술 등 심한 신체·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꼽힌다. 특히 원형탈모의 경우 증상의 정도에 따라 원인이 다른데, 원형 한 두개 정도 나타나는 가벼운 탈모의 경우 대부분 면역체계 검사 등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스트레스성’으로 분류된다.

또 이런 원형탈모의 80% 정도는 자연 회복된다. 반면 모든 머리카락, 심지어 몸 전체의 털이 빠지는 심한 원형탈모는 자가 면역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탈모 치료에는 미녹시딜·스트레로이드·면역억제제 등 약물이나 냉동·레이저 등의 시술이 사용된다.

탈모를 근본적으로 예방하는 방법은 없지만, 샴푸가 머리에 남지 않도록 꼼꼼히 씻어내고 되도록 드라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등의 평소 관리가 두피·모발 건강에 도움이 된다. 또 스트레스나 지나친 다이어트 등도 탈모에 영향을 미치는만큼 피해야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