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기업 해외M&A 전방위 지원한다

중소·중견기업 해외M&A 전방위 지원한다

입력 2014-03-07 00:00
업데이트 2014-03-07 07: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상 물색·인수·사후관리에 자금·인력지원 확대

정부가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인수·합병(M&A)을 활성화하기 위해 매물 물색부터 인수, 사후 관리까지 전방위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글로벌 M&A 지원센터 설립 1주년 성과보고 대회’를 열고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M&A 활성화 보완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유럽, 아시아, 미주를 M&A 거점으로 정하고 정보기술(IT), 자동차부품, 의료 등 주요 산업을 중심으로 전문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한다. 유망 매물기업의 명단을 작년 280개에서 올해 400개로 늘려 정보를 제공한다.

M&A를 위한 재무·법률 검토와 현지 실사 때 드는 비용의 지원한도를 현행 3천만원에서 5천만원으로 늘린다. 현재 코트라 런던 무역관에만 있는 M&A 전문인력을 미국과 홍콩에도 배치한다.

코트라, 부품소재투자기관협의회, 수출입은행 등으로 ‘M&A 금융지원 그룹’을 구성해 인수의향서(LOI) 작성, 인수자금 마련 등을 돕는다. 산업부는 관련 부처와 수출 관계기관, 투자은행(IB) 등과 함께 ‘M&A 지원기관 협의체’를 운영한다.

정부는 민간 투자가 저조한 M&A에 선도적으로 투자하는 특화펀드를 만들고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Copa(연기금) 펀드’를 2천억원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무역보험공사의 해외투자보험 지원 규모는 작년 3조3천억원에서 올해 12조원, 내년 13조8천억원으로 늘린다.

우리 기업이 해외기업 인수에 성공하면 경영 성과를 낼 수 있게 컨설팅 비용을 3천만원 한도에서 지원한다.

코트라, 외환은행, 수출입은행은 이날 ‘국내 기업의 M&A 지원을 위한 협력 양해각서’를 맺고 인수 자금과 현지법인의 투자자금 대출 때 금리를 우대하기로 했다.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M&A 투자액은 2000년 8천만 달러에서 2012년 6억3천만 달러로 증가했지만 대기업의 55억4천만 달러에는 못 미친다.

산업부는 작년 2월 코트라에 M&A 지원센터를 만든 이후 자동차부품회사인 동국실업의 독일 ICT(폴크스바겐 협력업체) 인수 등 9건의 M&A가 성사되도록 지원했다고 밝혔다.

김재홍 산업부 1차관은 “해외 M&A는 내부 자원이 빈약한 우리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