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지도 3.0시대] 포털·공공기관 등 가세… 시장 규모 4조원대

[디지털 지도 3.0시대] 포털·공공기관 등 가세… 시장 규모 4조원대

입력 2013-09-26 00:00
업데이트 2013-09-26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기 디지털 지도 산업은 자동차용 내비게이션 지도업체를 중심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나오면서 자동차용 내비게이션 시장은 저물고 있다. 대신 인터넷서비스 업체들이 디지털 지도 시장에 적극 뛰어드는 형국이다. 디지털 지도가 진화하면서 기존 주력 산업도 재편되고 있는 것이다.

구글은 디지털 지도 서비스에 해마다 수십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스트리트 뷰를 시작한 데 이어 실내 지도 서비스를 시작했다. 노키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도 3D 지도 산업에 적극 뛰어들고 있다.

우리나라 인터넷 검색 서비스 업체들도 예외는 아니다. NHN은 코엑스와 강남역 지하상가 실내지도 서비스를 시작했다. 다음은 4대 고궁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문화유산 공간정보 지도를 내놨다. 건물의 내부까지 보여주는 서비스도 시작했다.

공공기관도 전문 영역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앱을 적극 생산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가 최근 무료로 제공하기 시작한 음성인식 고속도로 내비게이션 앱도 이 중 하나다. 디지털 지도를 바탕으로 전방 30㎞ 이내에서 일어난 사고 등 돌발 상황을 문자나 음성으로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술이다.

2010년 세계 공간정보시장은 89조원으로 추산됐다. 성장세는 다른 산업보다 월등하게 높다. 연평균 11% 성장해 2015년에는 15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공간정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공간정보시장 규모는 약 4조 8000억원으로 추산됐지만 앞으로는 규모가 훨씬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3-09-26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