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파악 부실한데…” 기초연금 공정성논란 우려

“소득파악 부실한데…” 기초연금 공정성논란 우려

입력 2013-09-25 00:00
업데이트 2013-09-25 16: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연금 수급자는 소득 더 잘 파악돼”…정부 “’무늬만 빈곤노인’ 방지제도 마련중”

기초연금 정부안이 ‘잘 사는’ 상위 30% 노인을 배제하는 것으로 확정됨에 따라 소득과 재산을 얼마나 정확하게 파악하느냐가 제도의 공정성에 중요한 잣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행 기초노령연금도 재산과 소득을 따지지만 수령액이 10만원이 채 안 돼 큰 논란으로 불거지지 않았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가 내년 7월 시행할 새 기초연금은 수령액이 20만원으로 높아지므로 소득 파악이 잘 안 된다면 수급자와 비수급자간 공정성 논란이 크게 제기될 수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정부안에 따르면 홀몸노인 기준으로 월소득인정액이 83만원, 부부노인의 경우 133만원이 넘으면 기초연금을 타지 못한다.

소득이나 재산이 많은 노인이라도 당국에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으면 20만원을 모두 받지만 소득파악이 잘 되는 노인의 경우 실제로 넉넉지 않은 살림살이여도 상위 30%에 포함돼 기초연금 혜택을 못 받게 된다.

예를 들어 대도시에 공시지가 기준으로 3억원 이상인 주택을 자기 명의로 소유한 홀몸노인은 소득이 전혀 없어도 기초연금을 못 받는 반면, 자녀 명의의 다세대 주택에 살면서 높은 임대수익을 올리는 노인은 수급자에 포함될 수 있다.

기초연금 최대 수령액이 20만원으로 늘어나면 재산이나 소득을 숨겨 수급자가 되는 ‘무늬만 빈곤노인’이 지금보다 더 늘어날 우려가 크다.

특히 국민연금이 소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노인의 경우 소득이 유리알처럼 투명하게 드러나 부동산과 금융자산 등 잘 드러나지 않는 재산을 가진 노인에 비해 불리해질 수 있다. 기초연금 수령액이 국민연금 가입기간에 연계돼 ‘국민연금 가입자 역차별’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부실한 소득파악률이 이런 불만을 더 부채질할 수 있는 대목이다.

대선 공약 이행을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도 소득과 재산 파악이 부실해서 제도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 등으로 구성된 ‘국민연금 바로 세우기 국민행동’은 최근, “소득 상위 10%에 속하는 노인(홀몸노인) 중에서 15.9%가 현행 기초노령연금을 받고 있고, 하위 30%에 속하는 노인이면서도 4.2%는 혜택을 못 받고 있다”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정부도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소득과 자산 파악 정확성을 어떻게 높일지 고심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25일 “소득과 자산 파악 문제는 오랫동안 지적됐다”며 “2016년까지는 손을 보려고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우선 내년 7월에 65세가 되는 노인들은 기초연금 신청을 받은 후 가입자가 될지를 가능한 꼼꼼히 따져 볼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