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쌀 3천400t 식당에서 국산 쌀밥으로 둔갑

수입쌀 3천400t 식당에서 국산 쌀밥으로 둔갑

입력 2013-08-21 10:00
업데이트 2013-08-21 1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식당에서 국산으로 속여 판 수입쌀이 3천400여t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민주당 김춘진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밥쌀용으로 들여온 쌀 의무수입물량(MMA) 11만400t 가운데 3천438t이 국산으로 둔갑해 전국 식당에서 팔렸다.

2011년 MMA 물량 10만4천t 가운데 식당에서 원산지를 속여 판 물량은 1천686t에 달했으며 2010년에는 9만8천t 중 22t이 국산으로 둔갑했다.

2009년과 2008년 원산지표시 위반 적발 물량은 각각 1천328t과 941t에 달했다.

2008년과 2012년의 적발물량을 비교하면 4년간 2.65배 증가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011년 2월부터 100㎥ 미만 소형 음식점에도 원산지표시의무제가 적용돼 이 때부터 적발 건수와 물량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10년 원산지표시 위반적발 건수와 물량이 적은 이유로는 이해 국산 쌀 가격은 급락한 반면, 수입쌀 가격은 최근 4년 중 가장 높아 비싼 수입 쌀로 밥을 지어 팔 이유가 없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김 의원은 “연간 약 30만톤의 수입쌀이 시장에 풀려도 외국산 또는 국산과 혼용으로 표시한 식당을 찾아보기 힘들다”며 “수입쌀 유통이력제 도입 등 수입쌀의 부정유통을 뿌리 뽑을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1994년 우루과이라운드 협상과 2004년 재협상에서 매년 쌀 MMA 물량을 2만t씩 늘리는 대신 2014년까지 쌀 관세화 개방을 유예하기로 한 상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