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청년인턴 정규직 전환 인색

공공기관 청년인턴 정규직 전환 인색

입력 2013-08-17 00:00
업데이트 2013-08-17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상반기 채용 8446명 중 인턴경험 1398명… 16% 뿐

공공기관들이 올 상반기에 청년인턴을 1만 2000명 이상 뽑았지만, 정규직으로 채용한 인원은 1400명에도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청년인턴 채용을 양적으로 늘리고 있지만,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일자리의 질’은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기획재정부가 16일 발표한 ‘2013년 상반기 청년인턴 채용 실적’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 공공기관에서 총 1만 2556명의 청년인턴을 채용해 연간 목표인 1만 2858명의 98%를 달성했다.

공공기관 유형별 청년인턴 채용 인원은 공기업이 4835명(104.6%), 준정부기관이 5092명(129.6%) 등으로 상반기 목표인 75%를 넘어섰다. 다만 기타공공기관은 청년인턴 채용자 수가 2629명으로 연간 목표 대비 61%라는 낮은 채용률을 기록했다.

청년인턴 채용률은 높았지만 청년인턴이 정규직으로 채용되는 경우는 적었다. 올 상반기 공공기관에서 채용한 정규직 8446명 중 청년인턴 경험자는 1398명(16.6%)에 불과했다. 당초 정부가 공공기관 청년인턴의 정규직 채용 권장 비율로 설정한 20%에 못 미친다. 상반기 정규직 채용 인원 대비 청년인턴 경험자 비율이 50%가 넘는 공공기관은 21개로 전체 295개 공공기관 중 7%에 불과했다.

공공기관 유형별로는 공기업은 56.2%, 준정부기관은 22.8%, 기타공공기관은 3.1%(160명)로 차이가 컸다. 기타공공기관에는 연구소나 병원이 많아 인턴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유인이 낮기 때문이라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반면 한국중부발전㈜, 한국표준협회, 한국원자력연료㈜, 한국주택금융공사,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시장경영진흥원, 축산물품질평가원 등 7개 기관은 정규직 채용 인원의 100%를 청년인턴 경험자로 선발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08-17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