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전력위기 극복 진두지휘한 ‘전력 사령관’

최악 전력위기 극복 진두지휘한 ‘전력 사령관’

입력 2013-08-15 00:00
업데이트 2013-08-15 1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종만 중앙전력관제센터장 “국민·산업계 절전이 원동력””전력수급 수요관리에 중점 둬야…요금 현실화도 필요”

14일 오후 5시 30분 전력거래소 긴급전력수급대책상황실.

”수급경보 준비 단계를 해제합니다”라고 발표하는 그의 얼굴에 살며시 미소가 번졌다. 2011년 9·15 전력대란 이후 최악의 전력 위기가 예상됐던 12∼14일 사흘을 무사히 넘기는 순간이었다.

조종만 중앙전력관제센터장은 이 기간 최대 ‘이슈메이커’였다. 모든 언론이 그의 말 한마디, 일거수일투족에 집중했다.

점심을 김밥으로 때우며 고락을 함께한 부하 직원들에게 ‘고생했다’며 격려하는 그에게 소감을 묻자 “일반 국민과 산업계에 깊이 감사드린다”는 답이 돌아왔다.

폭염 속에 냉방기기 가동을 중단하고 자투리 전력을 모아준 국민, 생산량을 줄이면서까지 절전시책에 협조해 준 산업계가 이번 위기 극복의 최대 공신이라는 것이다.

그는 피가 마를 정도로 긴박했던 이 사흘 중에서도 첫 날인 12일(월요일)을 가장 위험한 시기로 예상했다고 한다.

주말에서 바로 이어지는 월요일은 통상 다른 날보다 냉방기기 가동률이 높은데다 이날은 산업체가 여름휴가를 끝내고 정상조업을 시작하는 것과 겹쳐 전력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가용한 발전기를 최대 출력으로 풀가동한 터여서 공급력 확대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국민과 산업계가 얼마나 절전에 동참해줄지도 확신이 없었다.

여기다 월요일 아침에는 화력발전소 2기가 무리한 풀가동 탓에 잇따라 고장나는 아찔한 상황까지 맞았다.

하지만 막상 하루가 시작되자 수요패턴이 우려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애초 8천만kW를 넘을 것이라는 최대 전력수요는 7천970만kW대에서 멈췄고 160만kW대로 곤두박질 칠 것으로 예상한 예비력도 400만kW선을 방어하며 위기를 모면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 패턴은 13∼14일에도 그대로 나타났다. 결국 그의 표현대로 ‘보이지 않는 절전’, 즉 국민·산업계의 고통 분담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중앙전력관제센터장은 전력 위기 상황에서 전국의 전력수급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컨트롤타워’를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 일종의 ‘전력 사령관’격이다.

실시간 전력 공급 및 수요 상황을 한눈에 꿰고 ‘준비-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이어지는 수급경보 단계별로 ‘적시 적소’에 비상수단을 지시해야 한다. 수급경보가 발령될 때마다 이를 전국에 전파하는 것도 그의 역할이다.

사소한 실수가 국가적인 위기를 초래할 수 있어 언제라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어려운 자리다.

조 센터장은 예고 없는 순환단전으로 엄청난 사회적 혼란을 부른 2011년 9·15 전력대란 직후 사태 수습을 위한 ‘소방수’로 긴급 투입됐다.

한국전력 입사 이후 27년간의 직장 생활 가운데 24년을 관제 분야에서 일한 ‘베테랑’으로 그의 관록을 따라올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이후의 삶은 ‘위기’와 ‘위기 극복’이 반복되는 극적인 순간의 연속이었다고 한다.

낙뢰로 하루에만 500개의 송전설비가 한꺼번에 일시 단락돼 새벽에 급히 관제센터로 나와 밤을 꼬박 새운 적도 있고 원전 여러 대가 맞물린 송전선로에 문제가 생겨 아찔한 순간을 경험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센터장 임무를 맡은 이후 셀 수 없이 많은 고비를 경험했지만 전력수급 문제로 가장 초조하고 긴장했던 것은 이번 전력 위기였다”고 털어놨다.

조 센터장은 ‘올여름 전력수급 위기가 완전히 끝난거냐’는 질문에는 강하게 손사래를 쳤다.

그는 “지금처럼 폭염 수준은 아니지만 무더위가 9월 중순까지는 갈 것이라는 예보가 있다”며 “이 때까지는 어떤 순간도 긴장을 풀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언제까지 국민의 고통 분담만 요구할 수는 없다’면서 전력수급 문제를 근원적으로 풀 수 있는 나름의 해법도 제시했다.

”정확한 전력수요예측을 기본으로 하면서 이제는 발전소 건설을 통한 공급력 확대에만 신경 쓸 게 아니라 수요관리에 좀 더 중점을 둬야 합니다. 여기에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지나치게 저렴한 전기요금의 현실화가 뒷받침돼야겠지요.”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