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한·중 전세기 운항 제한… 국내 관광업계 비상

中, 한·중 전세기 운항 제한… 국내 관광업계 비상

입력 2013-07-29 00:00
업데이트 2013-07-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운항실적 한국의 절반 수준

중국 정부가 한·중 양국의 부정기편(전세기) 항공기 운항을 제한하면서 국내 관광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우리 정부도 이례적인 조치라서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달 중순 자국 국적 항공사에 한·중 간 전세기 운항 횟수와 기간을 제한하겠다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공문에서 중국 정부는 정기 노선에서 전세기 추가 운항을 허용하지 않고 같은 항공로에서 전세기 운영기간을 1년 중 4개월 이내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방침은 국적 항공사에도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는 중국 항공당국에 사실 확인을 요청했지만 아무런 답변도 받지 못했다. 중국 정부가 부정기편 운항에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은 자국 항공산업 보호 차원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중 부정기편 항공 운항실적은 거의 배 가까이 차이 났다. 중국 국적사 항공기가 970편(왕복 기준) 운항하는 데 머무른 반면 우리 국적 항공기는 1800편을 운항했다. 특히 저비용항공사의 중국 진출이 늘었다. 중국 부정기편 항공시장에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시장 점유율이 36%인 반면 저비용항공사의 점유율은 64%나 됐다.

정기편은 양국 정부가 항공회담에서 거의 평등하게 운항 횟수를 허가해줘 형평성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부정기편은 항공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해 항공기를 운항하는 것으로 양국 간 운항 횟수에 제한이 없다. 한·중 양국 간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특히 우리 국적사의 부정기편 운항 수요가 크게 늘어나자 중국 정부가 자국 정기노선 보호를 내세워 부정기편 운항 허가 기준을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중국 당국에 사실 관계 확인을 요청했으며, 중국 당국의 공식 입장이 오는 대로 대응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3-07-29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