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위기에 한전·민간 따질 수 있나요”

“정전 위기에 한전·민간 따질 수 있나요”

입력 2013-07-20 00:00
업데이트 2013-07-20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전, 민간 발전사 37곳 맡아 9월 말까지 24시간 기술지원

지난달 28일 폭염으로 연일 전력난을 겪을 때 중부권에 있는 한 민간 발전사의 복합발전소 증기 터빈이 고장을 일으켰다. 발전기를 만든 외국 업체에 수리를 의뢰했더니, 8월 말까지 고치겠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외국 업체야 급할 게 없지만 국내 전력 공급에 한몫을 하고 있는 민간 발전사로선 큰일이다 싶었다. 할 수 없이 한국전력에 도움을 요청했고, 전력 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한전은 즉시 비상복구팀을 꾸려 보수에 나섰다.

한전은 이 일을 계기로 아예 ‘발전설비 긴급 기술지원단’을 편성, 24시간 기술지원을 하기로 했다. 기술지원단은 한전 산하 6개 발전회사와 37개 주요 민간 발전사를 대상으로 9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전력연구원의 김병한 기술전문센터장을 단장으로 20년 안팎의 경험을 지닌 100여명의 전문 인력들이 기계, 전기·제어, 화학·환경 및 연구분야 등 4개 분야, 27개 설비항목별로 활동을 한다. 국내 최고의 기술진인 이들은 24시간 조별 대기를 위해 여름휴가도 반납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술지원단은 벌써 민간 발전사에 대한 지원 4건을 포함해 총 20여건의 긴급 지원을 했다.

100만㎾급 원자력발전소 1기가 정지하면 한전은 추가 전력 구입비로 하루에 평균 42억원을 지불하고 있다. 50만㎾급 석탄화력발전소 1기만 해도 19억 7000만원이 추가 비용으로 소요된다. 전력 공급 부족으로 예비전력이 450만㎾ 이하로 떨어지면 전력경보 1단계 ‘준비’가 발령되고, 한전은 계약을 맺은 민간 발전사로부터 전력을 긴급구매한다.

이런 민간 발전사가 총 446개나 된다. 한전이 원전에서 생산된 전력을 살 때는 1㎾h당 51.3원을 주는데, 민간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사로부터 급히 추가로 구입하면 165.6원을 지불한다. 이 덕분에 대기업 계열 발전사들은 지난해 무려 962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한전 관계자는 19일 “많은 비용을 물더라도 전력 공급에 차질을 빚으면 안 되기 때문에 민간 발전사의 긴급 구호에 나섰다”고 말했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7-20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