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 경쟁’ 이통사 과징금·영업정지 사례

‘보조금 경쟁’ 이통사 과징금·영업정지 사례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14: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초 영업정지 기간에도 과잉 보조금 경쟁을 그치지 않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U+) 등 이동통신 3사가 18일 총 669억6천만원의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이 기간 보조금 경쟁을 주도한 사업자로 분석된 KT는 7일간 신규 가입자를 모집할 수 없는 영업정지 처분을 추가로 받았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사에 영업정지를 부과한 것은 지난해 12월 24일 이후 두 번째다. 과거 정보통신부 통신위원회가 결정한 것까지 더하면 통산 5번째다.

보조금 경쟁으로 이동통신사가 과징금 처분을 받은 것은 2000년 이후 30∼40차례에 이른다. 방통위 출범 이후로는 이번이 5번째 과징금 처분이다.

다음은 이통사들인 보조금 경쟁으로 이용자의 이익을 침해해 과징금 또는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주요 사례.

▲ 2001년 6월 25일 = <영업정지> SK글로벌(019PCS 가입자모집 대행) 3개월. <과징금> SK글로벌 1억원, KTF 21억원, LG텔레콤 11억원.

▲ 2002년 4월 8일 = <과징금> SK텔레콤 100억1천만원, KTF 58억1천만원, LG텔레콤 27억1천만원, KT(KTF 재판매) 15억원.(과태료 포함)

▲ 2002년 10월 28일 = <영업정지> SK텔레콤 30일, KTF 20일, LG텔레콤 20일, KT 10일.

▲ 2004년 2월 23일 = <과징금> SK텔레콤 217억원, KTF 75억원, KT 41억원.

▲ 2004년 6월 7일 = <영업정지> SK텔레콤 40일, KTF 30일, LG텔레콤 30일, KT 20일.

▲ 2004년 12월 29일 = <과징금> SK텔레콤 75억원, KTF 20억원, LG텔레콤 6억원.

▲ 2005년 5월 9일 = <과징금> SK텔레콤 231억원, KT 11억원, LG텔레콤 27억원.

▲ 2006년 3월 6일 = <과징금> SK텔레콤 138억원, KTF 37억원, LG텔레콤 15억원.

▲ 2006년 4월 18일 = <과징금> SK텔레콤 78억원, KTF 21억원, LG텔레콤 7억원, KT 2억원.

▲ 2006년 6월 26일 = <과징금> SK텔레콤 426억원, KTF 120억원, LG텔레콤 150억원, KT 36억원.

▲ 2007년 4월 24일 = <과징금> SK텔레콤 75억원, KTF 58억원, LG텔레콤 47억원, KT 16억원.

▲ 2010년 9월 24일 = <과징금> SK텔레콤 129억원, KT 48억원, LG유플러스 26억원.

▲ 2011년 9월 19일 = <과징금> SK텔레콤 68억6천만원, KT 36억6천만원, LG유플러스 31억5천만원.

▲ 2012년 12월 24일 = <영업정지> SK텔레콤 22일, KT 20일, LG유플러스 24일. <과징금> SK텔레콤 68억9천만원, KT 28억5천만원, LG유플러스 21억5천만원.

▲ 2013년 3월 14일 = <과징금> SK텔레콤 31억4천만원, KT 16억1천만원, LG유플러스 5억6천만원.

▲ 2013년 7월 18일 = <영업정지> KT 7일. <과징금> SK텔레콤 364억6천만원, KT 202억4천만원, LG유플러스 102억6천만원.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