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때 여성 일자리가 더 불안

경기침체 때 여성 일자리가 더 불안

입력 2013-02-13 00:00
업데이트 2013-0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자발적 상실 女43% 男37%

경기침체 시 여성이 남성보다 고용상황이 더 불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 해 동안 여성 고용보험 상실자는 255만 2000명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다. 증가율이 남성(3.1%)보다 높았다.

특히 비자발적 상실자 비중도 여성(43.4%)이 남성(37.0%)을 앞섰다. 비자발적 상실은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회사 폐업·도산·계약기간 만료나 질병·부상 등으로 고용보험 자격을 잃은 경우다. 윤정혜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2.0%에 그치는 등 극심한 경기침체에 여성 일자리가 더 민감하게 반응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여성이 서비스업에서 일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여성 고용보험 가입자 436만 7654명 가운데 48.1%가 서비스업에 종사했다. 남성(21.4%)보다 26.7% 포인트나 높다. 서비스업은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20.0%(지난해 11월 기준)로 광공업(5.3%), 건설업(4.8%) 등에 비해 훨씬 높았다. 반면 여성 고용보험 가입자 가운데 광공업 종사자 비중은 남성(36.9%)보다 크게 낮은 20.1%다.

여성의 결혼·출산·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0대 여성의 고용률은 55.1%다. 20대 후반(25~29세) 고용률인 68.0%와 13% 포인트가량 차이가 난다. 윤 연구원은 “한창 일할 나이인 30대의 낮은 고용률은 전체 여성 고용률이 낮은 원인”이라며 “노동시장 이탈 방지책과 노동시장 재진입 정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2011년 기준 우리나라 15~64세 여성 고용률은 53.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56.7%보다 낮다.

세종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3-02-13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