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이외 PF 사업장도 정상화 불투명”

“저축銀 이외 PF 사업장도 정상화 불투명”

입력 2011-09-29 00:00
업데이트 2011-09-29 14: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실 PF 자체 정상화 추진 시 추가손실 가능성”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매입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중 저축은행 이외의 금융회사 사업장도 정상화가 불투명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박선숙(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캠코가 은행과 증권사, 여전사로부터 매입한 48개 PF 사업장(2조1천542억원 규모) 가운데 60%가 넘는 29개 사업장이 토지매입조차 완료되지 않은 단계다.

또한 그중 19개는 사업 인ㆍ허가도 받지 못한 상태다. 캠코가 정리한 채권은 1천62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PF 사업장 10개 중 6개 사업장이 첫 삽도 뜨지 못했다는 이야기”라며 “저축은행 PF뿐 아니라 은행과 증권사, 여전사의 PF 사업장도 정상화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그는 캠코가 저축은행 부실 PF사업장의 정상화를 위해 프로젝트관리회사(PMC) 레인트리 설립을 추진하면서 ▲토지작업 완료후 매각 ▲인ㆍ허가 후 매각 ▲시공 및 분양 완료 후 회수액 분배 정리 (자체 개발) 등 3가지 전략으로 정리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것과 관련, “현재 부동산 시장환경을 고려한다면 미분양에 따른 추가손실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캠코는 부실 PF사업장을 정상화하기 위해 신규자금을 PF 대출로 마련하겠다는 계획이지만 기존 채권액은 물론이고 추가투입금액에서도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