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시중銀 유동성 늘려 ‘준외환보유고’ 역할… 달러 ‘3중 방어막’ 쌓는다

국책·시중銀 유동성 늘려 ‘준외환보유고’ 역할… 달러 ‘3중 방어막’ 쌓는다

입력 2011-09-29 00:00
업데이트 2011-09-29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기대응 매뉴얼 구축

정부가 유럽발(發) 금융위기로 인한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달러’로 3중 방어막 구축에 들어갔다. 최후에 가동하는 외환보유고 외에 2선에 국책은행, 3선에 시중은행을 배치하고 이들이 달러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 후 신용경색 위기를 민관 공조를 통해 극복한다는 전략이다. 2008년 금융위기 때 외환보유고로 고환율을 방어하는 동시에 시중은행에 유동성을 투입하면서 겪었던 혼란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국책은행과 시중은행들은 원·달러 환율이 안정세를 찾은 27~28일을 이용해 외환 조달을 진행했다.

이미지 확대
28일 금융위 관계자는 “외환보유고가 3000억 달러 이상 있지만 비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국책은행과 시중은행의 외환 유동성을 늘리도록 권고했다.”면서 “엄밀히 국책은행과 시중은행의 외환유동성은 외환보유고에 포함되지 않지만 이들이 비상시에 외환보유고를 축내지 않으면서 준외환보유고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환율방어·은행지원 2008년 혼란없게

2008년 10월 정부는 환율 방어와 함께 금융시스템 붕괴 우려에 따라 300억 달러의 자금을 은행권에 긴급지원한 바 있다. 당시 원·달러 환율은 한달 새 200원 이상 치솟았고, 2008년 1월 2618억 달러였던 외환보유고는 11월 2005억 달러까지 줄면서 심리적 마지노선인 2000억 달러를 넘봤다.

이에 따라 정부는 위기 상황이 와도 3선에서 시중은행이 자신이 보유한 유동성으로 버틸 수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23일 달러 조달 수단이 끊겨도 내년 상반기까지 버틸 수 있도록 달러를 확보하라고 시중은행에 주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시중은행들의 커미티드 라인(마이너스통장 성격의 외화차입선)은 2008년 당시 7억 달러에 비해 6배 많은 42억 달러로 늘었다.



시중은행의 유동성이 바닥날 경우 시중은행이나 기업에 달러를 공급할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은 2선에서 방어벽을 쳤다. 주로 비상시에 만기 1개월 정도의 단기자금을 시중은행에 빌려주게 되며 정부가 자금을 지원할 때 시중에 공급하는 창구역할도 하게 된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서울 서초구 반포동 팔레스 호텔에서 열린 민관합동 경제·금융 점검 간담회에서 “1997년과 2008년 위기를 겪으면서 정부와 민간의 리스크 관리와 위기 대응능력이 크게 높아졌다.”면서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면서 정부는 나름대로 대응 매뉴얼이 이미 구축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자금 조달 환경 개선될 것”

산업은행 관계자는 “외화 조달 금리가 크게 낮아지진 않았지만, 홍콩과 싱가포르 딜러들이 3개월~1년 만기 기업어음(CP)의 발행 통화와 금리 등에 대해 문의하고 있다.”면서 “자금 조달 환경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금융위기로 인한 국내 여파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외환 대출 잔액이 지난 20일 378억 달러로 지난달 말(373억 달러)보다 늘었으며, 시중은행의 단기 차환율(만기연장비율)도 이달 들어 26일까지 129%를 기록하고 있다. 정영식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만일을 대비해 한·미, 한·유럽연합(EU) 통화스와프 등이 체결되면 위기 방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주·오달란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9-29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