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두달새 12% 절하…세계 최고 수준

원화 두달새 12% 절하…세계 최고 수준

입력 2011-09-27 00:00
업데이트 2011-09-27 08: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물가 목표 연 4% 준수 난망

원화 가치가 최근 두 달 새 달러화에 대해 12% 절하되면서 절하율이 세계 주요 21개국 통화 가운데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환율 상승으로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가중되고 있어 한국은행이 물가 목표인 연 4.0%를 지키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2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26일 현재 1,195.80원으로 두 달 전인 7월26일의 1,051.10원에 비해 12.1% 절하됐다.

두 달간 달러화 대비 절하율은 원화가 한은 ECOS에 등재된 주요 21개국 통화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최근 금융위기의 진원지인 유로화의 달러화 대비 절하율은 6.3%로 원화 절하율의 절반 수준이며, 영국파운드의 절하율은 5.2%를 기록했다.

아시아 통화 중 일본 엔화와 중국 위안화는 각각 2.2%와 0.9% 절상됐으며, 홍콩달러는 0.1% 절하되는데 그쳤다. 인도네시아 루피아와 태국 바트는 2.9%와 3.8% 절하됐으며, 싱가포르달러와 말레이시아 링깃은 6.8%와 6.1% 절하됐다.

한국 원화를 제외하고 절하율이 10%를 넘은 통화는 호주달러(10.4%)와 뉴질랜드달러(11.2%), 스위스 프랑(11.0%) 등 3개 통화였다.

원화의 절하율이 상대적으로 큰 것은 한국의 대외 의존도가 높고 외화 유출입이 자유롭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아시아 국가 중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이 비교적 발달해 있어 투기적인 거래가 활발한 점도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꼽힌다.

한은 관계자는 “서울 외환시장의 개방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쏠림 현상도 심한 편”이라며 “최근 한국이 아닌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 투자한 외국인도 원·달러 NDF 시장을 활용해 환위험 헤지 거래를 하고 있어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두 달 새 원화 절하율이 10%를 넘어서면서 물가 상승 압력도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이 거시계량모형을 통해 조사한 결과로는 원.달러 환율이 10% 상승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5~0.8%포인트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평균 4.5%를 기록하고 있어 연평균 4.0% 달성을 위해서는 이달부터 넉 달간 평균 3.5% 이내여야 하지만, 가능성이 작다는 지적이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최근 올해 물가목표치 4.0%를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경제에 무리를 주면서 물가 상승률 목표치를 달성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염상훈 SK증권 연구원은 “국제유가가 최근 소폭 내렸지만, 전세 가격과 환율이 급등했기 때문에 연 4% 물가 목표는 물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며 “당분간 경제지표가 좋은 모습을 보이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