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치는 금융시장] 개미 비율 90%… 투매 막을 ‘안전판’ 없었다

[요동치는 금융시장] 개미 비율 90%… 투매 막을 ‘안전판’ 없었다

입력 2011-09-27 00:00
업데이트 2011-09-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6일 8% 넘게 폭락하며 2년 10개월 만에 최저치를 경신한 코스닥 시장은 하루종일 공포에 질린 개인투자자들의 비명 소리만 들렸다. 하지만 안전판은 없었다. 코스피 시장처럼 기관이나 고환율로 이득을 볼 수출 대기업들의 버팀목 역할도 없었다.

코스닥 종목은 10개 중에 2개 꼴로 하한가를 기록했다. 공포는 투매를 낳고 투매는 또다시 공포를 불러오는 악순환의 연속이었다. 개인 투자자들은 “또 개미만 당했다.”면서 “코스닥이 폭락한 이유라도 알려달라.”고 울분을 터뜨렸다.

이미지 확대
●상승 종목 수는 65개 불과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6.96포인트(8.28%) 폭락한 409.55까지 추락했다. 2008년 11월 6일(-8.48%) 이후 최저치였다. 이날 코스닥 시장 내 997개 종목 중 하한가는 190개(19.1%)였다. 하락 종목 수는 932개, 상승 종목 수는 65개에 불과했다.

코스피는 지난주보다 44.73포인트(2.64%) 내린 1652.71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6월 10일(1651.70)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코스피, 코스닥 모두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사실 지난 주말 미국과 유럽 증시가 강세로 돌아섰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들은 반등을 기대했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6.73포인트(1.51%) 오르며 장을 시작했다. 하지만 오전 9시 21분 예상치 못한 하락세 전환과 함께 지수가 급전직하했다.

●개인 투자자들 195억원 순매도

장 초반 40억원까지 순매수 규모를 늘렸던 개인은 오전 10시쯤 37억원을 순매수했으나 10시 36분에는 53억원 순매도로 돌아섰다. 기관도 순매도 규모를 20억원에서 60억원으로 늘리면서 시장의 추락이 시작됐다. 오후 들어 기관은 ‘사자’ 우위로 돌아섰지만 공포에 질린 개인 매물을 받아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코스닥 시장에서 하루 평균 개인의 거래 비중은 90%대를 웃돌기 때문이다. 개인은 이날 195억원을 순매도했다.

●“글로벌 신용경색에 공포”

그간 지수로는 코스피 지수가 코스닥 지수보다 더 크게 오르고 빠졌지만 시장 크기를 반영한 등락률은 거의 비슷했다. 하락률이 사상 최고치였던 2008년 10월 24일에도 코스피 지수가 10.57% 빠지는 동안 코스닥 지수는 9.99% 내렸다.

하지만 이날 코스닥 지수는 8.28%가 내리면서 코스피 하락률(2.64%)의 3배가 넘었다. 전문가들은 투자심리가 공포에 빠졌을 때 보이는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말한다.

오승훈 대신증권 연구위원은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투자자가 패닉에 빠져도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2%, 30%를 차지하고 있어 안전판 역할을 하지만 코스닥은 개인 비율이 90% 이상이어서 안전판이 없다.”면서 “개인투자자들이 글로벌 신용경색을 우려한 결과”라고 말했다.

오재열 IBK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코스피 시장이 먼저 무너지고, 코스닥에 하락 분위기가 전이됐지만 실제는 안전판이 없는 코스닥이 더 하락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주·임주형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9-27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