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만 물가폭탄 맞았다

소비자만 물가폭탄 맞았다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산자물가 0.3%↓ 소비자 되레 0.2%↑

이미지 확대
정부가 전방위적인 물가 잡기에 나선 가운데 높은 물가로 인한 고통 분담이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업체의 원가 부담이 낮아지고 있음에도 도매가 하락은 더디고 소비자 물가는 되레 오르고 있다. 특히 올해와 마찬가지로 물가가 불안했던 2008년과 비교하면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의 전년동기 대비 상승률 차이가 좁아져 물가 상승분을 고스란히 소비자가 떠안고 있는 모습이다.

2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 각각 0.4%, 0.3% 감소했다. 통상 수입물가와 도매물가 성격인 생산자물가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소비자물가는 이례적으로 0.2% 상승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물가 부담이 생산이나 유통 과정에서 흡수되지 않고 소비자에게 전이되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수입물가의 경우 3월에는 전년 동월대비 19.6%까지 치솟았으나 6월에는 10.5%로 3개월 만에 9.1% 포인트가 떨어졌고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같은 기간 7.3%에서 6.2%로 상승폭을 1.1% 포인트 줄였다. 반면 소비자물가는 3월 4.7%에서 6월 4.4%로 소폭으로 떨어지는 데 그쳤다. 정유사의 가격 인하가 없었다면 상승률이 거의 차이 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08년의 경우 물가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7월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12.5%,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9%로 격차는 6.6%포인트였다. 반면 올해 물가상승률 최고치를 기록한 4월에는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7.3%,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7%로 2.6% 포인트 차를 기록했다. 이 밖에 수입물가 가운데 소재·부품으로 구성된 중간재물가의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6월에 3.9%를 기록, 지난해 4월 이후 14개월 만에 소비자 물가 상승률(4.4%)보다 낮아졌다.

2008년 당시에는 기업들이 물가 부담에 따른 고통을 분담했다면 최근에는 경기 회복과 맞물려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당시에는 원유가가 7개월 만에 52% 폭등, 가격을 소비자가에 반영할 틈이 없었다면 최근에는 유가 상승세가 상대적으로 완만해 비용을 전가할 여유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1-07-25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