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값 기록경신…소매가 1돈에 21만7800원

국내 금값 기록경신…소매가 1돈에 21만7800원

입력 2011-07-16 00:00
업데이트 2011-07-16 1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금값이 16일 이틀 전에 세운 최고치를 깨고 또 올랐다.

㈜한국금거래소(Korea Gold Exchange)에 따르면 이날 국내 금 소매가는 3.75g(1돈)에 21만7천800원(부가가치세 10%별도)으로 전날보다 600원 올랐다.

앞서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경기가 계속 둔화하고 물가상승률이 현저히 낮으면 행동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는 자신의 발언이 ‘3차 양적완화’ 가능성으로 이해되자 14일(미국 시각) “현시점에서 추가 조치는 준비하지 않고 있다”고 부인했다.

이후 한국시각으로 15일 오후 3시30분 기준으로 뉴욕상품거래소(COMEX)의 8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날보다 트로이 온스당 6.80달러(0.43%) 하락한 1천582.50달러를 나타내는 등 시세가 잠시 떨어지는 듯했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별다른 대안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이 다시 금 투자 심리를 부추겼고 금값 상승세가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실제로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시각으로 15일 오후 5시14분 뉴욕상품거래소의 금 거래가는 최고치인 트로이 온스당 1천594.50 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한국금거래소 최은규 부사장은 “신용평가사 무디스 S&P 등이 미국 신용등급 하락을 경고하는 등 미국발 악재에 대해 미국 정부가 특별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양적 완화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의 정부대책이 나올 수밖에 없을 거라는 전망이 금투자 심리를 자극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제 금 가격이 일단 투자자의 심리적 저항선인 1천600달러를 넘으면 1천600달러 중반까지는 무난하게 오를 것 같다”고 전망했다.

국제적인 금값 상승으로 국내 금값은 14일 21만7천200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이에 따라 1돈짜리 돌 반지의 소매가격이 세금과 세공비를 포함해 25만원 선까지 오르는 상황이 벌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