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떼인돈’ 11% 급증

저축銀 ‘떼인돈’ 11% 급증

입력 2011-07-14 00:00
업데이트 2011-07-14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수익 여신 2조4350억 부실채권 관리 ‘빨간불’

올 들어 주요 저축은행의 무수익 여신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미지 확대


무수익 여신이란 일정 기간 이상 이자가 연체된 대출금을 의미한다. 이자는 물론 원금조차 회수할 가능성이 낮은 부실채권으로, 사실상 ‘떼인 돈’에 가깝다. 때문에 무수익 여신의 증가는 저축은행의 부실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는 ‘사전 징조’로 받아들여진다.

13일 미래희망연대 김정 의원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주요 저축은행 20곳의 무수익 여신 총액은 2조 435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말 2조 1515억원에서 불과 3개월 만에 11.1%(2385억원)나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하반기 6개월 동안 무수익 여신 증가율이 0.8%(185억원)에 그쳤다는 점을 감안하면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포함한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관리에 ‘빨간불’이 켜진 셈이다.

특히 서울저축은행의 무수익 여신 비율은 무려 37.6%에 이른다. 무수익 여신 비율이 10%를 넘는 저축은행은 대영 21.7%, 신민 17.9%, 부산솔로몬 17.4%, 제일2 11.0%, 솔로몬 10.7% 등 모두 7곳이다. 일반 시중은행의 무수익 여신 비율은 통상 1~2% 수준이다.

무수익 여신 규모가 가장 큰 저축은행은 솔로몬으로 3878억원이다. 서울 3540억원, HK 3118억원, 제일 2619억원, 토마토 2545억원 등 모두 9개 저축은행의 무수익 여신이 1000억원을 넘어섰다.

김 의원은 “무수익 여신 증가는 대손충당금 확충과 당기순이익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면서 “PF대출 연체에 무수익 여신마저 증가하면 올 하반기에 부실 저축은행이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1-07-14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