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세가 비율 60%이상 가구수 3배로

수도권 전세가 비율 60%이상 가구수 3배로

입력 2011-07-13 00:00
업데이트 2011-07-13 08: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세수요 매매로 전환되나‥부동산업계 기대

최근 1년간 수도권에서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의 60%를 웃도는 가구수가 3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는 13일 수도권에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60% 이상인 가구수를 조사한 결과 1년 전 16만3천413가구에 비해 214.9% 급증한 51만4천593가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세가 비율 60% 이상인 가구수는 2008년 13만2천가구에서 2009년 10만1천125가구로 23.4% 감소했다. 그러나 2010년 전세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61.6%가 늘어난 데 이어 올해 35만1천180가구가 60% 기준을 넘어섰다.

지역별로는 2010년 1만9천636가구에서 올해 9만7천7가구로 394% 폭등한 서울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이어 신도시가 22만7가구에서 69만370가구로 215.2% 늘었고, 경기도는 10만8천635가구에서 32만1천223가구로 195.7%, 인천은 1만3천135가구에서 2만6천993가구로 105.5%가 각각 증가했다.

1년만에 전세가 비율 60% 이상 가구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매매가격은 떨어진 반면 전세가격은 올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작년 7월부터 현재까지 전세가는 10.5% 올랐으나 매매가는 0.87% 내렸다.

지역별 전세가 상승폭은 경기 13.18%, 신도시 12.18%, 서울 10.5%, 인천 2.91% 순이었다. 반면 매매가는 인천 -1.58%, 서울 -0.93%, 경기 -0.82%, 신도시 -0.27%로 전 지역에서 예외없이 하락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통상 ‘전세가 비율 60%’를 전세 수요가 매매로 돌아서는 기준점으로 잡는다. 특히 수도권은 60%까지 올라가기 전에도 매매시장이 활성화됐던 전례가 있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리서치연구소장은 “하반기에도 전세가 비율이 60%를 넘는 가구수는 늘어날 전망”이라면서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전환돼 서울 외곽에서부터 거래가 살아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