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값 연일 사상 최고가 갱신…또 오를까

국제 금값 연일 사상 최고가 갱신…또 오를까

입력 2011-04-29 00:00
업데이트 2011-04-29 09: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 현·선물 가격 모두 사상 최고치한은 금 보유액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대두

국제 금 가격 상승세가 무섭다.

29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런던거래소(LME)에서 거래되는 국제 금 현물가격은 28일 온스당 1,536.25달러로 장을 마쳐 하루만에 다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금 현물은 지난 20일 마감시각 기준 온스당 1,500달러선을 넘은 뒤 26일(1,506.3달러)까지 1,500달러 초반을 맴돌다 27일 1,527.35달러로 하루 만에 20달러가 오르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되는 금 선물가격도 비슷한 양상이다.

금 선물은 지난 21일 1,503.20달러로 1,500달러대에 진입한 뒤 26일 일시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27일 전일보다 13.60달러 오른 1,516.60달러, 28일에는 1,530.80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 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 오정석 연구원은 “최근 국제 금 가격 오름세는 인플레이션 압력 지속, 달러 약세, 유럽재정위기, 중동·아프리카(MENA)지역 정정불안, 일본 대지진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대외적 불안이 지속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돼 금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저금리 기조 발언에 따라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금 가격은 더욱 오름세를 보였다.

오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달러와 금은 반대의 방향성을 보인다”면서 “최근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전망을 하향조정한 데 이어 버냉키 의장의 발언이 겹쳐져 금이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또 “같은 원자재여도 금은 석유나 곡물과는 다른 성격을 가졌다”면서 “투자수단으로서 가치가 있기 때문에 수요가 떨어져도 당분간 상승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금 가격 상승이 지속되자 일각에서는 한국은행이 금 보유량을 늘려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경제 전문가는 “금 가격이 오르는 데는 중국이 금 보유량을 적극적으로 늘리기 시작한 이유도 있다”면서 “한국도 이런 추세를 따라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외환보유액 1위 국가인 중국은 미국 채권에 편중된 외환투자를 다변화하기 위해 금 매입을 늘리고 있다.

이 전문가는 “한은은 금이 무수익 자산이라는 점 때문에 보유량을 늘리는 것을 꺼리고 있지만, 금은 20~30년 후를 내다보고 하는 것”이라면서 “최근 금 가격 상승세를 보면 우리나라는 이미 늦은 감이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은 관계자는 “기본적인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면서 “지금처럼 시장 변동성이 클 때 (금 투자에) 들어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달 말 기준 한은의 외환보유액은 2천986억2천만달러로 이중 금 보유액은 전체 보유액의 0.03%인 8천만달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