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 손 맞잡은 기업·사회] 한국토지주택공사

[동반성장 손 맞잡은 기업·사회] 한국토지주택공사

입력 2011-04-29 00:00
업데이트 2011-04-29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사설계 심의때 中企참여 등 항목 평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동반성장 분위기 조성을 위해 LH가 발주하는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 공사 설계 심의에 동반성장 평가 항목을 신설하기로 했다. 따라서 동반성장에 기여하지 않은 기업은 LH 공사 수주가 어려워질 전망이다. 또 대형공사 분리발주 확대, 최저가낙찰제 개선, 중소기업 제품 구매 확대 등에도 나선다.

이미지 확대
이지송(왼쪽 세번째)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등 임직원들이 지난해 10월 서울 양천구 수해복구 현장에서 복구작업을 돕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 제공
이지송(왼쪽 세번째)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등 임직원들이 지난해 10월 서울 양천구 수해복구 현장에서 복구작업을 돕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 제공


LH는 지난 12일 이 같은 내용의 ‘LH 동반성장 30대 세부실천과제’를 마련하고 세부계획을 추진 중이다.

LH의 30대 실천과제는 중소기업 직접 참여기회 확대(10개 과제), 공정한 성과배분 및 불공정 하도급 개선(10개 과제), 자발적 역량 강화(7개 과제), 추진·점검 및 인센티브 체계구축(3개 과제) 등 4대 추진분야로 구성돼 있다.

LH는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해서 턴키공사에 동반성장 평가점수를 반영키로 하고, 구체적인 시행시기 등을 조율 중이다. 4분기부터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LH의 연간 턴키공사 발주 규모는 7000억~1조원으로 올해는 1조 200억원이 예정돼 있다.

최저가 낙찰제도 손질한다. 공사 입찰 때 저가 투찰을 막기 위해 배점기준을 바꾸고, 일정금액(기준금액의 60%) 미만의 저가 입찰 때에는 배점상 불리하도록 평가기준을 변경한다.

이현주 LH 동반성장추진단장은 “실천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통해 LH가 공공부문에서 동반성장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1-04-29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