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쇼핑 ‘소셜 커머스’가 대세

인터넷쇼핑 ‘소셜 커머스’가 대세

입력 2010-12-04 00:00
업데이트 2010-12-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 하루에 한 가지씩 반값에 판매하는 ‘소셜 커머스’가 인터넷 쇼핑의 대세로 자리 잡았다. 소셜 커머스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기반을 둔 전자상거래로 특정 기간에 정해진 인원이 모이면 해당 상품을 파격적으로 판매한다. 외식, 옷, 공연, 여행, 레저 등 다양한 형태의 상품이 거래돼 인기가 높다. 국내에서는 ‘티켓 몬스터’ ‘위 메이크 프라이스’ ‘데일리픽’ ‘쿠팡’ 등이 소셜 커머스 사이트로 주목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SK텔레콤의 오픈마켓 11번가(www.11st.co.kr)는 쿠팡과 제휴해 3일부터 파격 특가 판매를 시작했다. 첫 상품은 의류 브랜드 ‘클럽모나코’의 50% 할인권. 매일 ‘오늘 하루 특가’ 코너를 통해 쿠팡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똑같이 제공할 예정이다.

신세계몰은 지난달 29일 하루 동안 캐주얼 브랜드 ‘갭’의 5만원 상품권을 2만 5000원에 판매했다. 앞서 소셜 커머스 업체 위메이크프라이스도 에버랜드 자유이용권을 60% 할인한 1만 4900원에 판매해 하루에만 10만여장을 팔아치웠다.쿠팡은 ‘DJ DOC 워커힐 풀사이드 파티’ ‘스킨스쿠버’ ‘영어 수업’ 등 다채로운 상품을 인터넷으로 판매해 소비자의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주의도 요구된다. 소셜 커머스에 나오는 상품권은 대부분 사용 기한이나 조건이 붙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위메이크프라이스에서 판매한 에버랜드 자유이용권은 야외 놀이공원 비수기인 올해 말까지만 이용 가능했다. 신세계몰의 갭 상품권도 이용 장소를 서울 명동 매장으로 국한했다. 또 아동복과 임부복은 구매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11번가 김종용 서비스팀장은 “인터넷 상품권인 만큼 조건을 꼼꼼히 따져보고 정말 꼭 필요한 것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12-04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