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퇴직연금 大戰

증권사 퇴직연금 大戰

입력 2010-12-04 00:00
업데이트 2010-12-0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 퇴직연금 시장의 본격적인 확대를 앞두고 사업자 간 경쟁의 화두가 고금리 싸움, 부가서비스 차별화에서 최근에는 투자상품의 다양화로 진화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히 내년에는 포스코, 현대차, KT, 한국전력, 현대중공업 등 ‘빅5’의 가입으로 현재 21조원(지난 10월 말 기준)인 퇴직연금 적립금이 2배 이상 불어날 전망이어서 혈투가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7~8%에 이르던 원리금보장형 상품의 금리는 금융당국이 억제에 나서면서 최근 4%대 중후반으로 낮아져 투자 매력이 꺾였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회사가 운용하는 확정급여(DB)형과 개인이 운용책임을 지는 확정기여(DC)형의 동시 가입이 가능해진다. 또 자영업자 가입 허용, 퇴직자 의무 가입 등으로 개인퇴직계좌(IRA)도 활성화돼 실적배당형 상품으로 관심이 옮겨질 것으로 보인다. 투자상품에 강점을 지닌 증권사들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최근 증권사들은 ‘무기’가 될 투자상품 마련에 열을 올리고 있다. 퇴직연금 랩어카운트가 대표적 예다. 지난 9월 미래에셋증권에 이어 최근 우리투자증권이 퇴직연금 랩어카운트를 내놓았고 대우·하나대투증권 등 다른 증권사들도 이달 중이나 내년 초 관련 상품을 잇따라 출시할 계획이다. 은행권에서도 가세할 수 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퇴직연금 고객들을 만나보면 실적배당형 상품은 분산 투자해야 되는데 상품을 고르기조차 힘들다는 고민이 대부분”이라면서 “이 때문에 증권사가 고객 성향별로 알아서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 비중과 시기 등을 관리해 주고 목표수익률을 달성하면 안전자산으로 전환해 주는 랩어카운트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삼성·현대·동양종금증권 등은 채권 직접 투자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동양종금증권 관계자는 “완전한 국고채는 수익률이 낮지만 지방공사채 등 일부 국고채는 2~3년물이 5% 후반대에 이르는 등 예금금리보다 높은 경우가 종종 있다.”면서 “물가연동국고채 역시 채권 수익에 인플레이션 상승률까지 더해져 연 평균 7% 이상의 수익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0-12-04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