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복지비 비중 프랑스 4분의 1 수준”

“근로자 복지비 비중 프랑스 4분의 1 수준”

입력 2010-10-31 00:00
업데이트 2010-10-31 1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의 근로자 법정 복리비 비중이 주요 선진국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가 근로자를 고용할 때 발생하는 노동비용 중 법정 복리비는 산재보험료,건강보험료,국민연금의 사업주 부담분과 장애인고용촉진기금 부담금,기타 법정복리비 등과 같은 사회복지비용을 말한다.

 31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발간한 노동리뷰 10월호에 따르면 한국의 법정 복리비 비중은 6.7%로 주요 선진 5개국과 비교했을 때 매우 낮은 편으로 파악됐다.

 영국(6.1%)을 뺀 프랑스(25.1%),독일(15.3%),일본(10.3%),미국(8.3%)보다 낮았고 프랑스,독일과는 격차가 컸다.

 하지만 우리 근로자에 대한 법정복리비 비중은 최근 안정적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노동리뷰는 전했다.지난 1994년 이후 꾸준히 올라가 2005년부터 6% 중반대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해고 수당 등을 포함한 퇴직금 비용은 한국이 10.1%로 일본(6.8%),미국(4%),독일(0.5%)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임금·상여금 등 현금급여 비중은 76.6%로 나타나 영국(75%),독일(75.3%),프랑스(63.4%)보다 높았지만 일본(79.8%),미국(77.3%)보다는 낮았다.

 현금 급여 중 상여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한국이 19.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일본(17.4%),독일(9.8%),미국(7.6%),영국(7%),프랑스(4.2%) 순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