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세계 전지시장 ‘영토확장’

LG화학 세계 전지시장 ‘영토확장’

입력 2010-10-07 00:00
업데이트 2010-10-07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LG화학이 미국 캘리포니아 에너지저장시스템(ESS·Energy Storage System) 시장에 진출한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에 이어 세계 중대형 전지시장에서 영역을 더 넓히게 됐다.

이미지 확대
LG화학은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최대 전력회사인 SCE가 추진하는 ‘가정용 ESS 프로그램’의 2차전지 최종 공급업체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LG화학은 올해부터 2012년 말까지 3년 동안 SCE에 개당 10㎾h 용량의 ESS용 2차 전지를 공급, 성능을 시험한 뒤 이를 바탕으로 2013년부터 2차 전지를 대량 공급할 계획이다.

ESS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지금처럼 가정이나 공장 등에 바로 전달하지 않고 2차전지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가장 필요한 시점에 전송,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송전 기술이다.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서로 정보를 교환해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의 핵심이다. 가정에 ESS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전기비 부담을 상당히 덜 수 있게 된다.

LG화학은 미국 현지법인인 LGCPI를 통해 LG전자와 LS산전 등에서 공급받은 충전기와 통신·제어 장치 등 각종 부품을 패키지 형태로 최종 조립해 SCE에 납품하게 된다.

SCE는 캘리포니아주 500만 가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미국 최대 전력회사다. 전체 전력 중 약 20%인 3000㎿를 신재생 에너지로 생산하면서 스마트 그리드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제주도에서도 LG화학과 LG전자, 한국전력, 포스코, GS칼텍스 등이 스마트 그리드 실증사업을 벌이고 있다.

전 세계 ESS용 리튬이온 전지시장은 현재 6000억원에서 2020년 12조원 수준으로 연평균 35% 이상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달 삼성SDI도 미국 AES에너지스토리지사와 2011년까지 20㎿급 규모의 전력계통 보조서비스용 ESS를 공급하는 계약을 하는 등 국내 업체들이 영역 확대를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일본 업체들이 먼저 뛰어든 전기자동차용 전지 시장과 달리 ESS는 미국 등에서 최근에야 대규모 투자가 이뤄지면서 기술력 면에서 선진국 업체와 대등한 경쟁이 가능한 구도”라면서 “향후 자동차전지 못지않게 성장할 ESS 관련 산업을 선점하는 데 유리한 고지에 오르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반석 LG화학 부회장은 “이번 공급 업체 선정으로 ESS용 전지에서도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면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ESS 전지를 차세대 신규 사업으로 적극 육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0-10-07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