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보험료 편법 무사고할인에 할증료

車보험료 편법 무사고할인에 할증료

입력 2010-07-19 00:00
업데이트 2010-07-19 08: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물배상 가입금액에 7천만원 신설

 다음달부터 자동차보험 가입자가 편법을 동원해 무사고 운전자 보험료 할인혜택을 받으면 내지 않은 보험료만큼 할증료를 물어야 한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다음달부터 현재보다 강화된 자동차 보험료 할인.할증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무사고 운전자에 대한 보험료 할인혜택 기준이 더욱 엄격해진다.

 종래까지는 소비자가 1년 무사고 기간(직전 3년 무사고 포함)을 채우지 못한 상태에서 사고를 내고도 사고 신고 시기를 보험 갱신시점 이후로 갱신해 무사고 할인 혜택을 받는 편법이 비일비재했던 게 사실이다.

 이 경우 갱신시점의 보험료가 할증되지 않는 것은 물론 그다음 해 보험료도 정상적으로 사고를 신고했을 때보다 줄어들기 때문에 할증폭을 낮추는 방법으로도 악용돼 왔다.

 하지만 다음달부터는 무사고 할인혜택을 받은 뒤 사고를 접수하면 보험료 할인을 받은 만큼의 특별할증을 받게 된다.

 또 계약 갱신 직전에 보험사에 보험금을 돌려줘 무사고 혜택을 받은 뒤 보험금을 재청구해도 할증 대상이 된다.

 자동차보험 가입때 1천만원,2천만원,3천만원,5천만원,1억원,2억원,3억원,5억원 순으로 늘어나는 대물배상 가입금액 범위에 다음달부터는 7천만원이 신설돼 선택폭이 넓어진다.

 외제차와의 사고에 대비해 대물배상 가입금액을 1억원 이상으로 정한 가입자가 전체의 80%가량을 차지하지만 외제차가 많지 않은 지역에서 주로 운전하는 가입자는 굳이 1억원 이상으로 들 필요는 없다는 지적을 감안한 조치다.

 금감원은 대물배상 가입금액이 종래 1억원이었던 가입자가 7천만원으로 변경하면 연간 3천~4천원의 보험료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