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대책에 자동차업계 판도는

미세먼지 대책에 자동차업계 판도는

최훈진 기자
입력 2016-06-03 16:19
업데이트 2016-06-03 16: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 미세먼지 대책회의…경유차 줄이고 전기, 수소저기차 보급 장려

정부가 3일 내놓은 미세먼지 대책에 경유차를 줄이고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보급 장려하겠다는 내용이 담기면서 자동차 업계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대책이 당장 큰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장기적으로 시장 수요가 디젤과 가솔린에서 친환경차로 이전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에서는 특히 정부 대책 가운데 전기차를 위한 충전시설 확충을 의미 있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충전시설은 전기차 보편화를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지만 자동차 업계 스스로 구축하기에는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실제 전기차는 충전시설 미비와 짧은 주행거리 등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그동안 보급 실적이 미비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신규등록 차량 총 52만1천647대 중 전기차는 454대에 불과했다. 비중으로 따지면 0.1%로,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하나도 늘지 않았다.

연료별로 보면 경유차가 51.0%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가솔린(38.9%), LPG(6.6%), 하이브리드(2.9%) 등 순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충전 인프라 없이는 전기차를 할 수가 없다”며 “이번 정부의 정책으로 친환경차 보급이탄력을 받을 것 같다”고 말했다.

당초 업계에서는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으로 디젤차 비중이 높은 수입차 업체가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다.

실제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자료를 보면 올해 1~4월 등록된 수입차량의 67.4%가 디젤이었고 가솔린(27.4%), 하이브리드(5.1%), 전기차(0.1%) 등 순이었다.

폴크스바겐의 경우 디젤이 판매 차량의 85%를 차지하는 등 일부 수입업체는 모델 대부분이 디젤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의 경유차 감축 정책이 승용차가 아닌 버스에 초점을 맞추면서 수입차 업체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해 수입차 판매의 98%는 승용차였다.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배출가스 저감 장치나 관련 규제 강화 등 승용차를 겨냥한 대책이 없다”며 “디젤 수요가 당장 크게 줄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정책이 특정 업체에 유리하게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오히려 중소형 경유차의 조기 폐차 유도가 신차 수요를 촉발해 업계 전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2009년 금융위기 당시와 같이 노후차 교체에 대한 세금 감면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신차 구매가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체들은 정부가 미세먼지 대책을 내놓기 전에도 이미 미래의 수요는 친환경차에 있다고 보고 친환경차를 앞다퉈 내놓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최근 부산모터쇼에서 올해 초 발표한 26개 차종에서 2개가 늘어난 28개 차종의 친환경차를 2020년까지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현대차는 부산모터쇼에서 친환경차 전용 모델인 전기차 ‘아이오닉 일렉트릭’을 전시했고, 기아차도 K5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PHEV) 대형 SUV 콘셉트카인 텔루라이드 PHEV를 공개했다.

도요타는 약 3분 정도의 수소 충전으로 650km를 주행할 수 있는 수소전기차 ‘미라이’와 초소형 삼륜 전기차 ‘i-로드’를, 닛산은 단 한 번의 충전으로 132km를 달릴 수 있는 전기차 ‘리프’를 내놓았다.

한국GM은 차세대 볼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하반기 출시 예정이며 로노삼성은 최근 관련 규제가 풀리면서 하반기 출시를 앞둔 초소형 전기차 트위지를 전시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